정책동향
농업부문 공공 R&D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투자 수요 분석
- 등록일2018-03-28
- 조회수419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8-03-14
-
출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농업#공공 R&D #경제적 파급효과#투자 수요
- 첨부파일
출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부문 공공 R&D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투자 수요 분석
농업부문 R&D는 신품종이나 농기계 등의 개발을 통해 농업 생산성 증대에 기여하였으며, 이러한 생산성 증대를 바탕으로 타 산업 분야에 노동력을 제공함으로써 국가 전체 경제 성장에도 기여하였다. 또한 최근 국가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대응과 관련해서 농업 R&D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 농업 R&D 투자는 정부나 공공부문 중심으로 이루어져왔으며, 그 투자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 추세에 있다.
[목 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업부문 공공 R&D 추진체계 및 투자 현황
제3장 농업 R&D의 생산성효과 분석 및 투자수요 전망
제4장 농업 R&D의 소득분배 효과 분석
제5장 농업부문 공공 R&D 투자 정책방향
제6장 요약 및 결론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 BioINwatch 야생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활용하여 재배종의 농업적 형질을 향상 2024-11-28
- BioINwatch 음식물 쓰레기 및 농업 폐기물로 지속 가능한 항공기 연료를 만들 수 있을까? 2022-08-10
- BioINpro 디지털농업의 현황과 전망 2021-03-31
- BioINwatch 디지털 농업(Digital Agriculture)으로의 발전 2020-09-16
- BioINwatch 산업 생명공학(Industrial biotechnology)에 세포농업(cellular agriculture) 개념 도입 2020-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