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보건의료 R&D] 보건의료 리빙랩 사례 연구

  • 등록일2018-04-26
  • 조회수5955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8-04-17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리빙랩
  • 첨부파일

 

보건의료 리빙랩 사례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진흥본부 R&D기획단

 

 

최근 보건의료 분야에서 사용자 주도형 혁신 모델인 리빙랩이 사용자 수요 도출 및 행태 분석, 사용자 주도형 기술개발 및 실증·실용화를 위해 활용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국내외 보건의료 리빙랩 현황 및 주요 사례를 살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분석 대상은 해외 사례인 벨기에의 LiCaLab과 대만의 Suen-Lien 리빙랩, 국내 사례인 ‘성남고령친화종합체험관의 한국시니어리빙랩’과 ‘휴대형 안저카메라 기술개발’사례이다.

 

분석결과, 보건의료 분야에서 리빙랩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다섯 가지 요인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보건의료 관련 정책 및 기술개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 하다. 둘째, 단기적·일회적 연구개발을 넘어 실제 생활하는 현장에서 기술·제품·서비스를 실험하면서 노인 돌봄과 헬스케어 분야에 특화된 리빙랩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셋째, 공익성을 지닌 똑똑한 최종 사용자를 어떻게 조직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넷째, 현장지향성 문제의 해결을 위한 다학제·초학제 연구팀의 구성과 운영이 필요하다.

 

다섯째, 리빙랩을 통해 보건의료 기술·제품·산업의 실용성·안전성에 대한 검증 뿐만 아니라 이를 실제 사용하는 사용자·사회·현장에 대한 이해의 제고가 필요하다.  

 

[목 차]

 

1. 서론

2. 리빙랩 개념과 방법론

3. 국내외 보건의료 관련 리빙랩 적용 사례

4. 정책적 과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