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지역과학기술혁신 측정방법의 현황 진단과 주요 개선방안
- 등록일2018-07-02
- 조회수4420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8-06-20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원문링크
-
키워드
#지역과학기술혁신
- 첨부파일
지역과학기술혁신 측정방법의 현황 진단과 주요 개선방안
□ 지역과학기술혁신정책은 지역발전과 국가발전의 주요 핵심전략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지역과학기술혁신정책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지역과학기술혁신의 현황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측정모형의 수립이 매우 중요함
- 지역과학기술혁신은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데 개별지표나 복합지수와 같은 지표접근법을 주로 활용해왔으며, 가장 대표적인 모형은 유럽연합 지역혁신스코어보드(RIS: Regional Innovation Scoreboard)임
- 국내에서는 지역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COSTII) 등이 매년 발표되고 있으나 법적 추진근거가 명확하지 않고, 기초지방자치단체 수준까지 확대해서 지역과학기술혁신의 현황을 파악하는 측정모형은 미비한 실정
□ 그동안 지역과학기술혁신의 측정은 네 가지 측면에서 측정대상과 분석자료의 가용성, 측정모형과 측정 방법론, 활용방안과 관련하여 주요 한계점들을 지적할 수 있으며, 이를 개선해서 유용한 정책적 의사결정 정보를 제공하려면 기술혁신 측정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 기존 광역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 벗어나 기초지방자치단체까지 지역과학기술혁신의 측정을 확대하고, 개별국가의 지역에서 벗어나 한·중·일 삼국 소재 지역들을 대상으로 지역과학기술혁신의 측정을 추진할 필요
- 또한 분석자료의 가용성 확보를 위해 기초지자체 수준의 통계자료 제공이 필요하며, 지표접근법 이외에도 방법론을 다변화하여 지역 과학기술혁신의 역동성(Dynamics)을 측정해야 함
□ 이에 따라 본 이슈위클리에서는 기존 지역과학기술혁신 복합지수 모형을 검토하여 ①불균형성과 ②잠재성, ③전문성, ④효율성의 주요 측정기준을 도출하고, 복합지수 효율성을 측정하는 네트워크 자료포락분석 방법론을 결합해서 지역과학기술혁신 유형화 진단모형(안)을 제시함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