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일본과 중국의 과학기술연구인력 현황 및 신진인력 확보 정책

  • 등록일2018-11-15
  • 조회수4591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8-11-05
  • 출처
    융합연구정책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연구인력#신진인력#일본#중국
  • 첨부파일

 

 

일본과 중국의 과학기술연구인력 현황 및 신진인력 확보 정책

 

 

01 선정배경

 

○ 4차 산업혁명과 미래 사회 대비 및 혁신의 주축이 될 신진 연구 인력, 즉 신진 과학기술연구자에 대한 중요성 대두

   - 해당 국가의 고령화와 인구감소, 연구직 기피 등 신진 연구인력 풀(pool)의 감소 가속화

 

○ 일본과 중국은 우리나라와 가장 인접한 국가임과 동시에 경쟁국으로, 과학기술분야에서도 우위를 점하기 위한 경쟁 치열 
   - IMD 과학경쟁력 순위: 일본(2위), 중국(3위), 한국(8위)

   - IMD 과학경쟁력 세부 항목으로는 연구개발인력과 과학기술분야 학사학위비율, 과학분야 논문 수 등 과학기술연구인력과 관련된 지표 상당 포함

 

○ 이에, 일본과 중국의 신진 과학기술인력 정책 파악을 통한 국내 신진 연구인력 유인 정책에 관한 시사점 도출

 

 

02 일본의 과학기술연구인력 동향: 정체

 

○ “OECD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의 연구자*는 약 65.7만 명

    * 2016년, 실질연구참여인력(Full-Time Equivalent: FTE), 산학연관 전체 기준 
   - 중국에 이어 동아시아 2위 수준이지만, 연구자 수는 정체

   - 특히, 정부소속 연구자는 지속적 감소추세에 있으며, ’16년 기준 ’11년 대비 5% 감소

   - 직장인 1,000명당 연구자 수 및 노동가능인구 1,000명당 연구자 수 또한 약 10명으로 정체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