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IMD 2018 세계 경쟁력 연감 분석
- 등록일2018-11-26
- 조회수4390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8-11-19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원문링크
-
키워드
#IMD#세계 경쟁력#세계 경쟁력 연감 분석
- 첨부파일
IMD 2018 세계 경쟁력 연감 분석
과학 및 기술 인프라 중심
제1장 분석의 개요
1. 분석의 기본방향
2. IMD 세계 경쟁력 연감 개요
3. 경쟁력 평가 구성
4. 평가 방법론
제2장 국가 경쟁력 분석
제3장 과학 인프라 분석
1. 개 요
2. 과학 인프라 지표별 분석
제4장 기술 인프라 분석
1. 개 요
2. 기술 인프라 지표별 분석
제5장 맺음말
부록
A. 국가별 종합 경쟁력 순위 추이(’14~’18)
B. 과학 기술 인프라 순위 추이(’14~’18)
C. 과학 인프라 지표별 국가 순위 및 현황
D. 기술 인프라 지표별 국가 순위 및 현황
제1장 분석의 개요
1. 분석의 기본방향
□ 본 보고서는 IMD가 매년 평가 및 발표하고 있는 세계 경쟁력 연감(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을 우리나라 중심으로 상세하게 분석하여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음
○ IMD 세계 경쟁력 연감은 WEF의 국가 경쟁력 지수 등과 함께 경제 및 非경제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복합적 개념의 국가 경쟁력을 평가
○ 본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과학기술경쟁력의 세계적 위치를 점검하고 정책 수립 및 평가의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
□ 평가 방법론보다는 평가 결과에 따른 현황 분석 및 대응방안 모색 등에 중점을 둠
○ 최근 IMD 세계 경쟁력 연감을 비롯해 여러 국가 경쟁력 지수의 한계점이 제기되고 있지만 이들 자료는 국가별 비교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하는데 용이함에 따라 분석 및 활용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
□ 본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 ’18년도 국가 경쟁력의 전반적인 현황을 우리나라 중심으로 분석
- 경제운용성과, 정부행정효율, 기업경영효율, 발전인프라 등 4개 부문의 5년간 추이를 살펴봄
○ 발전인프라의 하위 부문인 과학 인프라와 기술 인프라 평가 결과를 우리나라 중심으로 분석
- 지표별로 우리나라의 5년간 통계 및 순위 추이를 분석
- 국가경쟁력 10위권 국가들의 5년간 추이 및 20개 하위부문별 순위 정리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