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제도 및 규제가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등록일2019-01-08
- 조회수3724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8-12-26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원문링크
-
키워드
#제도#규제#총요소생산성
- 첨부파일
제도 및 규제가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요 약 문
< 제목 : 제도 및 규제가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1장 서론
□ 우리 경제는 경제성장률 2%대의 저성장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성장잠재력도 하락하는 추세임
○ 한국경제가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 선을 넘지 못하고 있으며, IMF는 한국 경제 규모의 비중이 향후 5년간 낮아질 것으로 전망
○ 노동력 공급이 둔화되고, 인적자본축적 저하, 경제불균형 확대 등 구조적 문제들이 경제 전반적인 생산과 효율성을 정체시킴으로써 성장잠재력을 저하
□ 지속적인 저성장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잠재성장률 제고를 통해 경제성장의 새로운 돌파구 모색 필요하며, 이를 위해 총요소생산성 제고가 필요
○ 총요소생산성은 노동이나 자본과 같은 단일 요소 생산성 측정에는 포함되지 않는 생산요소로서 기술혁신, 노사, 경영체제, 법·제도, 규제, 사회자본 및 금융시장 등 포괄적인 경제환경을 반영
○ 특히 규제는 자원배분의 효율성, 기업 내부의 효율성 및 혁신과 투자 등의 경제적 유인구조의 변화를 통해 거시경제변수에 영향을 미침
□ 본 연구는 규제(regulation)와 제도(institution)가 상호보완적인 관계 속에서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잠재성장률 회복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함
○ 경제성장의 중요 결정요인인 기술격차, 인적자본 및 무역개방도 등을 고려하고, 제도적인 요인들에 국가별 자료는 다수의 기관에서 발표되고 있으므로 이를 모두 포함하여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다양한 제도 및 규제 요인들을 분석
○ 제도 및 규제의 영향을 국가전체와 상품시장 및 노동시장, 그리고 네트워크산업에 대한 규제로 분류하여 규제가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따라 모형을 구분 설정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2018 미래융합포럼
-
다음글
- 2018 글로벌 10대 유망기술 정리
지식
- BioINregulation 바이오 규제 이해관계자 의견수렴제도 개선 방향 2025-04-02
- BioINwatch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2025-03-27
- BioINregulation 유전체 데이터 2차 활용 관련 국가별 제도 비교 2025-01-24
- BioINpro [KRIBB 워킹그룹] 국내외 LMO 관련 바이오신기술 규제 동향 2025-01-15
- BioINregulation 바이오 분야 비용편익분석: '합성생물학 개발·실험 규제완화’를 중심으로 2024-10-07
동향
- 정책동향 식약처,‘2025 CELL-UP 첨단바이오의약품 규제지원사업 캘린더’배포(상반기 업데이트) (’25.2.28.) 2025-04-25
- 정책동향 지역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정책과제 발굴‧기획 및 제도 구축‧활성화 방안 연구 2025-04-25
- 정책동향 복지부, 첨단재생의료 치료제도 시행으로 희귀·난치 질환자에게 새로운 치료기회 제공 (’25.2.19.) 2025-04-24
- 정책동향 식약처, ‘2025 CELL-UP 첨단바이오의약품 규제지원사업 캘린더’ 배포 (’25.1.3.) 2025-04-21
- 제도동향 멕시코 및 아르헨티나 의약품 의료기기 규제 업데이트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