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치매 관련 통계 생산 및 관리 체계화 방안

  • 등록일2019-02-07
  • 조회수4777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01-15
  • 출처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치매 통계#치매
  • 첨부파일

 

치매 관련 통계 생산 및 관리 체계화 방안

 

[목 차]


요 약

제1장 서론
제2장 치매 용어정의 및 치매 정책개요
제3장 치매 통계 생산 및 관리 현황
제4장 국외 치매통계 생산방식 및 국내 암 등록 통계관리 방식 검토
제5장 치매 유병률 산출방식 개편방안
제6장 치매 통계 생산 및 관리 방안
참고문헌

 

 

[요약]


1. 연구의 배경 및 연구내용?방법

 

? 고령화에 따른 치매환자의 증가로 치매질환자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 및 사회 전 체적인 파급효과가 매우 높음
○ 이에 ‘치매국가책임제’와 같이 국가차원에서 긴밀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 나, 정확하고 시의성 있는 치매통계자료의 생산 및 관리가 부족한 상황임

? 따라서 향후 국가치매정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치매 통계 생산 및 관리 방식 을 면밀히 비교·검토·분석하여, 정확하고 체계적인 치매 통계 생산과 관리 방안 마련이 이루어져야 함

 

?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국가치매정책의 수립과 시행의 효 율성을 높이기 위한 신뢰성 높고 시의적절한 통계 생산과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치매 통계 산출 및 관리 현황 분석
- 기존 치매유병률 산출방식의 적절성 및 특수성 검토
- 치매 관련 정책 및 통계 관리 현황 검토 및 분석
○ 해외 및 국내 유사사례 분석
- 해외 치매 관련 통계 생산 및 관리 현황 분석 : OECD, WHO, 미국, 캐나다, 일본 등 - 국내 특정 질환 통계 현황 분석 : 암등록통계 사례
○ 치매통계 산출 및 관리 개선방안 검토
- 치매등록통계 DB 구축 검토
- 치매유병률 산출 방식 개선방안 검토

 

? 본 연구 수행의 주요 연구방법은 정책 자료 및 치매통계 자료 분석, 현황 진단과 대안에 전문가 조사를 실시함
○ 기존 연구 및 치매관련 사업 자료 수집과 분석, 치매 정책에 대한 분석, 치매통 계 생산 및 관리 체계에 대한 내용 분석
○ 현황 진단과 대안의 모색을 위해 치매 정책 유관기관, 정부부처, 학계 및 의료 계 전문가 73명에 대한 전문가 자문회의 또는 전문가 조사를 실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