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2018년도 의료서비스경험조사

  • 등록일2019-03-04
  • 조회수4004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01-22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서비스
  • 첨부파일

 

2018년도 의료서비스경험조사 

 

 

목차

 

제 1장 서론

-제 1절 연구 배경과 필요성

-제 2절 연구 목적

 

제 2장 의료서비스경험 조사의 개요와 현황

-제 1절 개요

-제 2절 국제동향

-제 3절 OECD의 환자보고지표조사(Patient Reported Indicator Survey, PaRIS)

-제 4절 국내 현황

 

제 3장 2018년도 의료서비스경험조사의 기획

-제 1절 설문지 개발

-제 2절 표본설계

-제 3절 가중치 설계

 

제 4장 2018년도 의료서비스경험조사 결과

-제 1절 조사결과

-제 2절 심층 분석 결과

 

제 5장 발전 방향

 

참고문헌

 

부록 1

부록 2

 

제 1절 연구 배경과 필요성

 

□ 지난 수십 년간 국제연합(UN)과 세계보건기구(WHO)를 중심으로 한 국제 사회 는 세계인의 ‘건강 향상’을 보편적 가치이자 사회적 목표로 삼고(신정우,2017), 이를 위한 보건의료제도의 역할에 대해서 끊임없이 고민해 옴


O 세계인권선언(UN, 1948년)1), 알마아타 선언( WHO 1978년), 지속가능발전목표(UN, 2015년) 는 건강에 대한 권리를 인간의 기본권으로 간주함
O 특히, WHO는 건강이 빈곤, 교육, 경제 등의 다른 사회 문제에 미치는 영향력 이 크기 때문에 ‘건강한 삶’을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중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로 보고, 보편적 의료보장(Universal health coverage, UHC)의 실현을 통해 모든 사람의 건강한 삶을 보장하겠다 는 것을 실천 전략으로 세움


□ ‘건강의 가치’와 ‘보건의료제도의 역할’에 대한 깊은 논의와 함께,국민의 욕구 (Needs)를 파악하는 것이 정부의 중요한 과업이 됨


O 현재 보건의료 분야에는 모든 연령층,모든 사람의 건강한 삶 보장과 안녕 (well-being) 증진,고령화 현상의 극복,만성질환 대응 체계의 마련,의료의 질 향상,의료비의 급속한 증가 억제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이 쌓여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