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유망 의료기술의 개발 및 경쟁 촉진을 통한 의료체계 성과 향상 방안: 바이오시밀러를 중심으로
- 등록일2019-03-14
- 조회수4064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8-12-31
-
출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기술#의료체계#바이오시밀러
- 첨부파일
유망 의료기술의 개발 및 경쟁 촉진을 통한 의료체계 성과 향상 방안
바이오시밀러를 중심으로
[목차]
Abstract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제2장 바이오시밀러 시장과 정책의 국제 현황
제1절 바이오시밀러의 일반 현황
제2절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국제 현황
제3절 바이오시밀러 허가 및 안전 관리 정책
제4절 바이오시밀러의 시판 후 정책
제3장 국내 바이오시밀러 시장과 정책 현황
제1절 바이오시밀러 산업 및 연구개발 현황
제2절 바이오시밀러 관련 정책 현황
제3절 바이오시밀러 시장 경쟁 현황
제4절 바이오시밀러 사용 관련 의사의 인식
제5절 국내 바이오시밀러 현황의 고찰
제4장 고찰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내용]
요약
바이오시밀러는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과 같은 성분이면서 더 낮은 가격으로 공급되므로 환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사회적으로 의료비 지출 부담을 낮출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다. 2000년대 이후 의약품 시장에서 바이오의약품이 빠르게 증가해왔고 상승세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바이오시밀러 개발의 증가도 분명한 사실로 다가오고 있다. 그러나 허가된 바이오시밀러 제품이 증가한다고 하여 시장에서 그것의 사용이 저절로 활성화되고 이론적으로 예측되는 편익이 반드시 실현되는 것은 아니다.
외국의 선행 경험을 보면 바이오시밀러에 관한 정책은 기존의 약가 지불 제도와 처방 관리 제도의 틀 내에서 이루어지되, 화합물 의약품과 다른 특성을 고려하여 구매 방식의 강화 또는 문화적 접근, 의약품 선택이 이루어지는 시스템 전반을 통한 지원 등 특별한 노력을 기울일 때 바이오시밀러의 채택이 분명한 성과로 나타났다. 미래 의료체계에서 바이오시밀러의 잠재력이 어떻게 현실화될지는 그것과 관련하여 우리가 어떤 시스템을 만드느냐에 달려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