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석사조사(2018) : 국내석사학위취득자 실태조사
- 등록일2019-03-18
- 조회수404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01-05
-
출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석사조사#석사학위취득자
- 첨부파일
석사조사(2018) : 국내석사학위취득자 실태조사
[목차]
요약
제1부 사업 개요
제1장 서론
제1절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사업의 주요 내용
제2장 조사의 사전 준비 및 조사 체계 구축
제1절 조사 준비
제2절 조사 체계 구축
제3절 조사 설계
제4절 온라인 설문 시스템 구축
제3장 실사 및 DB 구축
제1절 조사 준비 및 실사
제2절 데이터 클리닝 및 DB 구축
제4장 사업 성과 및 향후 계획
제1절 자료 활용 현황
제2절 향후 계획
제2부 석사조사(2018) 기초분석
제1장 조사 결과 개요
제2장 석사학위과정 및 연구 성과
제1절 석사학위과정
제2절 연구 성과
제3장 노동시장 이행 성과
제1절 취업 상태
제2절 취업자
제3절 구직자 및 이직 희망자
제4장 해외 취업 및 이주 계획
제1절 해외 취업 및 이주 계획
제5장 박사과정
제1절 박사과정
제3부 석사조사 이슈 분석
제1장 국내 신규 석사학위 취득자 실태
참고문헌
부 록
1. 석사조사(2018)에 대한 협조 공문
2. 2018년도 석사조사 시행 계획(안)
3. 석사조사(2018) 설문지(국문/영문)
4. 변수 레이아웃
5. 온라인 조사 시스템 사용 매뉴얼(응답자용/대학 담당자용)
[내용]
요 약
1.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 사업의 필요성
- 2000년 이후 대학원의 규모가 양적으로 급속한 팽창을 이루었으나, 대학원졸업자들의 취업 여부나 이직 등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는 형편임.
- 대학원 석사학위 취득자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가 부재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 및 연구가 시급한 실정임.
- 특히, 특수 및 전문 대학원졸업자에 대한 정보는 조사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이들의 학위 취득 이후의 과정에 대한 조사가 필요함.
□ 사업의 목적
- 통계 및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고급인력에 대한 교육 및 재교육 체제의 적합성과 효과를 분석
- 일반대학원과 전문 및 특수 대학원의 교육 및 재교육 성과 분석을 통해 대학원 교육의 효과성 분석
- 대학원졸업자의 진로 및 취업 분석을 통해 대학원 교육 수준의 내용 적합성(미스매치) 분석
2. 석사조사(2018) 사업 개요
□ 석사과정 대학원졸업자에 대한 정확한 실태 파악을 통해 대학원 정책 수립에 기여하기 위해, 석사조사(2018)는 2015년 8월부터 매년 2월과 8월에 국내 대학에서 신규로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를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음.
- 조사 시기: 매년 2월과 8월 2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함.
- 조사 대상: 전국 대학에서 신규로 배출되는 석사 전수
- 조사 시행: 한국직업능력개발원과 교육부가 공동으로 실시함.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조사의 기획, 진행과 분석
? 교육부: 각 대학에 조사에 대한 협조 공문 발송
? 통계청: 온라인 조사 시스템 구축 및 유지 보수
- 조사 방법: 온라인과 오프라인 조사 병행
? 온라인 조사는 통계청에서 구축하여 제공하는 웹 설문 시스템을 통해 시행
? 오프라인 조사는 각 대학 담당자가 졸업자에게 설문지를 직접 회수
3. 조사표 설계
□ 대학원 고급 인적자원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 수집 및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조사로 국내외 유사 설문을 참조하여 초안 작성 후원 내외의 관련 전문가에게 조언을 구하여 최종 설문지를 작성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제138호 과학기술&ICT 동향
-
다음글
- 이스라엘의 혁신 정책 최근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