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2017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현황

  • 등록일2019-04-23
  • 조회수379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04-12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원문링크
  • 키워드
    #국가연구개발사업#성과분석
  • 첨부파일

 

 2017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현황

 

 

[목차]


1. 개요
2.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 총괄 현황

3. SCI(E)논문 성과 현황
4. 국내외 특허 성과 현황
5. 기술료 및 사업화 성과 현황
6.  2017년 성과의 수행과제 현황

7. 요약 및 정리

 

[내용]

 

1. 개요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KISTEP) 은 매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를 실시
- (조사대상)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대상 과제에서 해당 조사년도에 발생시킨 모든 성과 로서 과제 협약이 아닌 성과 발생일 기준
- (조사항목) 논문, 특허, 기술료, 사업화, 인력양성 지원, 연수 지원
- (성과검증) SCI논문과 특허는 검증 실시, 이외의 성과는 자계식 집계로 사업담당자의 입력 내용을 분석에 활용

 

□ 「2017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보고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창출된 2017년도 성과를 포함,최근 5년(’13년?’17년)간의 연구개발 성과를 대상으로 분석? 발간 
- 입력 받은 성과정보를 활용하여 범부처 차원의 종합분석을 수행하며, 성과정보의 조사?분석 결과를 정부R&D기획, 평가, 정책 수립 등에 활용
- 분석항목은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제 정보의 주요 5개 항목*으로 성과정보 구조의 특성 상, 주로 시계열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항목으로 구성
* 부처(연구개발관련 35개 부?처?청?위원회, 범부처 포함), 연구개발단계, 연구수행주체, 미래유망신기술(6T), 지역 등 5개 항목
- 논문과 특허는 논문 피인용 정보 및 학술지 Impact factor, 우수특허비율 등을 활용하여 질적분석 수행

 

2.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 총괄 현황


□ 2017년도 정부R&D 성과는 논문, 특허 등 대부분의 성과가 증가한 가운데 기술료 징수액만 전년대비 감소
- 국내 등록특허 건수(17.8% 증가), 사업화 건수(17.7% 증가)는 전년대비 큰 폭으로 증가
- SCI(E) 논문 수는 전년대비 4.4% 증가하여, 최근 5년간 연평균 9.6%씩 성장
- 기술료 징수건수는 증가한 반면, 징수액은 감소하여 건당 기술료가 감소
※ 징수건당기술료(억원/건) : (’15년) 0.43 ->(16년) 0.30->(17년) 0.27


□ 정부R&D 성과의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대부분 정부R&D 투자 증가율(3.5%)보다 높은(5.7%?21.2%) 수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해외등록 특허(15.3% 증가)와 사업화(21.2% 증가)가 높음
- 사업화는 매년 큰 변동 폭을 보이며 증감을 거듭하나, 2017년 사업화건수는 2016년에 이어 연속으로 증가

 

3. SCI(E)논문 성과 현황


□ 2017년도 정부R&D의 SCK(E) 논문은 39,032건으로 국가전체 SCI(E) 논문(60,529건)의 64.5% 차지


□ 부처별 성과에서는 과기정통부와 교육부, 연구개발단계별로는 기초연구, 연구수행주체 별로는 대학, 6T 분야별로는 BT분야에서 가장 많은 SCK(E) 성과 발생
- (부처) 기초연구를 중점적으로 지원하는 과기정통부(50.4%, 19,669건)와 교육부(27.8%, 10,867건)의 비중이 매우 높으며, 그 다음은 복지부, 산업부, 농진청의 순
- (연구개발단계) SCI(E) 논문의 76.2%(25,951건)가 기초연구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 또한 기초연구가 10.2%로 가장 높음
- (연구수행주체) 대학의 SCI(E) 논문 성과는 30,319건(77.7%), 출연(연)은 5,987건(15.3%) 으로 대학과 출연(연)이 전체의 SCI(E) 성과의 93.0%를 차지 
- (6T) BT분야의 SCI(E) 논문 비중이 39.4%(15,326건)로 가장 높고, 이어서 NT분야 14.5%(5,3148건), IT분야 14.2%(5,528건) 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