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제142호 과학기술&ICT 동향

  • 등록일2019-05-22
  • 조회수3691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05-13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 과학기술#ICT
  • 첨부파일

 

 제142호 과학기술&ICT 동향

 

 

[목차]

 

PART 01 이슈 분석 : 일본 스타트업 생태계 주요 지원정책


PART 02 주요 동향 
  1. 과학기술 
   ? 미국, AI 규제 법안 도입 
   ? 일본, 양자기술 특허 맵 분석 
   ? 일본, 새로운 모빌리티서비스 활성화 방안 발표 
   ? 중국, 미국 대비 중국 혁신역량 발전 비교 
   ? 중국, 국가대학과기원 혁신발전 촉진방안 발표 
   ? 영국, 블록체인을 활용한 재생에너지 동향 발표 
   ? OECD, 주요국 R&D 세금 인센티브 현황 조사 
   ? WEF, 플랫폼 경제 특성 분석


  2. ICT 
   ? 미국, 5G 주도권 확보 위해 이니셔티브 강화 
   ? 일본, 2020년 초 5G 상용화 담금질…서비스 완성도에 중점 
   ? 프랑스, 가상화폐 및 ICO 규제 완화 추진 
   ? 포보스, 글로벌 블록체인 50대 기업 발표…삼성전자 포함 
   ? 일본 도요타, 中수소차 시장 공략 시동…현지 산학과 첫 제휴 
   ? 新블루오션으로 부상한 우주, ICT 기업도 가세


PART 03 단신 동향 
  1. 해외 
  2. 국내


PART 04 주요 통계

 

[내용]

 

PART 01 이슈 분석 : 일본 스타트업 생태계 주요 지원정책

 

「Society 5.0 실현을 위한 벤처생태계 진화」,「세계적 수준의 스타트업 에코시스템 거점 구축 전략」보고서를 중심으로 요약 정리


① 일본 스타트업 지원 방향


□ 일본은 Society 5.0 실현을 위한 핵심 기반으로 스타트업 생태계 육성을 꼽고,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산학협력을 집중적으로 지원


○ IT를 중심으로 많은 신생 창업기업이 등장하고 있으며, 대학 및 연구기관의 역할을 연구 교육 주도에서 지식산업을 실현하는 혁신주체로 변화 추진
- ’17년 일본 벤처투자 금액은 2791억엔(약 2조 8000억 원)이며, ’12년 대비 벤처투자 금액 증가율은 430%에 달함
- 대학의 벤처 설립건수는 ‘05년도의 정점에서 감소하였다가 최근 다시 증가
추세를 기록(’17년 기준, 대학 벤처수 2,093개)
※ ’15년 기준, 연구개발형 기업 법인설립된 벤처는 총 200건이며, 이중 생존 기업률은 전체의 76%에 달함

 

○ ’17년 ‘미래투자전략’에서는 2023년까지 유니콘 기업을 20개까지 올린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주체별 성과 투자가 선순환 될 수 있는 시스템을 강조
- 대학, 국립연구개발법인, 기업·투자자 등이 일체가 되어, 이노베이션 성과가 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실현하기 위한 벤처 생태계 구축 실현

 

② 정부 창업 지원정책

 

□ 아베노믹스 성장전략인 ‘재흥전략(’16)’이 발표된 이후, 일본 경제를 살리기 위한 정부의 창업 활성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


1) 창업 환경 정비


○ 국가 전략 특구를 활용하여 외국인 기업가 유치를 활용화하고자 최장 1년 동안 입국 체류 인정하는 제도 추진
- 후쿠오카시는 ’14년 글로벌 창업 특구로 인정된 이후, 스타트업 법인 감세 및 외국인 창업 비자 발급 등의 정책을 전개

 

2)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 구축


○ 기업의 오픈 이노베이션 추진 및 이노베이션 창출을 목표로 오픈 이노베이션 벤처창조협의회(JOIC) 활동 강화
- ’15년 2월에 설립 이후, 현재 회원수가 1,318명에 이르며, 회원은 대기업(32%), 중소기업(16%), 창업 벤처(13%), 대학(4%), 기타(34%)로 구성
※ 회원 소속 분야는 기계 전기(19%), 서비스(17%), IT(16%), 화학(11%) 순임
- NEDO가 사무국 역할을 담당하며 오픈 이노베이션 관련 세미나와 워크샵, 피칭 추진, 오픈 이노베이션 백서 발간
※ NEDO 피치(년 10회), 워크샵(연 6회), 세미나(연 3회)
- 향후 대학 벤처에 초점을 맞춘 피칭 이벤트를 개최하고 기업간의 매칭 기능을 더 확대할 계획
- 스타트업의 제품 및 서비스 도입과 관련된 보조금 제도나 매칭 제도 시행

 

○ 과학혁신 통합(S&II) 협의회 활동 본격화
- 내각부가 사무국 역할을 담당하며, 기술 시드 발굴을 위해 부처 사업 PM, 대학 코디네이터 , 산업계 사업자간 원활한 중개 역할을 추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