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연구 재현성 이슈(2) - 원인과 대책
- 등록일2019-05-29
- 조회수4235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05-20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연구#연구 재현성
- 첨부파일
연구 재현성 이슈(2) - 원인과 대책
[목차]
1. 연구재현성 문제의 원인
2. 연구재현성 문제에 대한 대책
참고자료
알아두면 좋은 R&D Q&A
[내용]
1. 연구재현성 문제의 원인
□ 연구재현성 문제가 일어나는 원인에 대한 질문에 연구자들은 ① 선택적 보고, ② 출판에 대한 압박, ③ 질 낮은 통계분석 및 해석 등의 순으로 답변
※ 출처 : 1,500 scientists lift the lid on Reproducibility(Nature News Feature, ‘16.5.25.)의 그림 (What Factors Contribute to Irreproducible Research?) https://www.nature.com/news/1-500-scientists-lift-the-lid-on-reproducibility-1.19970
□ 연구자, 연구 및 출판 환경, 연구지원기관 등 다양한 부문에서 발생 가능
ㅇ (연구자) 출판에 대한 지나친 압박이 연구부정을 저지르는 가장 큰 이유이며, 연구부정이 연구재현성 문제로 이어짐
ㅇ (연구과정) 연구 설계, 분석, 통계처리에서 연구자가 자신에게 유리한 연구 결과를 끌어내기 위해 연구부정을 저지르는 경우가 존재
ㅇ (연구환경) 공동연구가 일상화되고, 많은 사람들이 연구에 참여하기 때문에 참여자 모두에 대한 연구 무결성을 다 통제할 수 없음
- 경쟁이 치열해지는 연구환경은 연구자로 하여금 실적의 압박을 가져오고 결과적으로 적합한 프로토콜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음
ㅇ (동료심사) 논문 심사에 있어, 특히 연구가 아직 덜 된 분야에 대한 동료심사의 경우 동료심사만으로는 연구의 적합성이나 연구부정을 걸러낼 수 없음
ㅇ (영향력 지수) 영향력 지수가 논문의 질을 결정짓는 절대적 요소로 인식되어 영향력 지수를 끌어올리기 위해 연구부정을 저지르는 유혹에 빠지게 됨
ㅇ (연구지원기관) 연구비지원 기관이 특정 연구결과를 원하게 되면서 연구자를 연구부정에 빠트리거나, 연구자 스스로가 연구비를 지원받기 위해 흥미 있는 연구로 포장하기 위해 연구부정을 저지름
ㅇ (통제 불가능한 요소) 동물이나 세포를 사용하여 실험을 하는 경우, 모든 동물이나 세포가 같을 수 없기 때문에 연구 재현성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regulation 바이오 분야 단기 기술영향평가 방법론 및 실증연구 2025-04-30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복합소재 연구동향 2025-03-24
- BioINwatch AI 기반 De novo 단백질 설계를 통한 항독소 치료제 개발에 관한 연구 2025-03-11
- BioINwatch 호주전략정책연구소, 글로벌 핵심기술 추적 (CriticalTechnologyTracker) 보고서 발표 2025-02-12
- BioINpro [KRIBB 워킹그룹] 2024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재창출 연구동향 2025-01-15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