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제143호 과학기술&ICT 동향] 영국, 2018년도 생명과학 및 의료기술 통계 발표 등
- 등록일2019-05-30
- 조회수4330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05-28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영국#생명과학통계#의료기술통계
- 첨부파일
[제143호 과학기술&ICT 동향] 영국, 2018년도 생명과학 및 의료기술 통계 발표 등
[목차]
? 주요 동향
1. 과학기술
미국, 사이버보안 인력 정책 강화 방안 마련
미국, 블록체인 혁신 10대 원칙 발표
일본, 주요국 중점 R&D 분야 전략 분석
일본, 대학 연구역량 혁신 방안 논의
중국, 일대일로 과학기술혁신협력 현황 분석
중국, 2018 과학기술 성과 이전 현황 발표
영국, 2018년도 생명과학 및 의료기술 통계 발표
독일, 연구·학술기관 예산(안) 발표
2. ICT
중국, 5G 특허출원 최다…글로벌 시장 1/3 점유
'19년 1분기 세계 스마트폰 시장 하락세에도 삼성 1위 수성
글로벌 IT 기업, 연례개발자회의를 통해 차세대 전략 구체화
미국·중국·싱가포르, 자율주행 체계 구축위해 시범 운행 활발
미국·중국 무역 분쟁 장기화…미국 대기업의 중국 시장 철수 가속
유통에 IT 기술을 입힌 '리테일 테크', 국내 시장 도입 가속
? 단신 동향
1. 해외
2. 국내
? 주요 통계
[내용]
Ⅰ 주요 동향(1) : 과학기술
1. 미국, 사이버보안 인력 정책 강화 방안 마련
□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사이버 인력 강화를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사이버보안 인력양성 정책 방안 마련을 제시*(’19.4.)
* Executive Order on America's Cybersecurity Workforce
○ 트럼프 정부 출범 후, 국가 사이버전략(National Cyber Strategy), 2018 대통령 관리 어젠다, 기반 시설 사이버보안 강화 행정명령 등 추진
- 공공과 민간 부문의 사이버보안 인력이 국가 경제 및 국방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강조
○ 이번 행정명령은 국방 부문의 사이버보안 인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목적이며, 이와 관련 인사제도 개선 및 훈련 제공 등의 정책 마련을 지시
① 인력 순환 프로그램 도입
- 사이버보안 인력 순환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지식 공유 및 기술 전문성 확대
- 국토안보부(DHS), 예산관리실(OMB), 인사실(OPM)은 프로그램 개요와 활용가능 자원, 권고 사항 등을 90일 이내에 대통령에게 제출
② 국가 사이버보안 교육 이니셔티브(NICE)* 통합
* National Initiative for Cybersecurity Education
- IT 사이버보안 서비스 계약 시, 국가 사이버보안 교육 이니셔티브(NICE) 프레임워크 분류를 활용하여 사이버 인력 파악 및 고용 지원
- 교육 이니셔티브는 보안제공, 운영 유지, 감독 관리, 보호 방어, 분석, 수집 운영, 조사 등 7개 범주로 구분하고, 33개 전문분야 및 52개 업무로 분류
- 총무성(GSA), 예산관리실(OMB), 상무부(DOC)는 국가 사이버보안 계약에서 사이버보안교육 이니셔티브 프레임워크의 영향력을 평가
③ 사이버보안 적성 평가
- 인사실(OPM), 상무부(DOC), 국토안보부(DHS)는 사이버 보안 역량이 있는 근로자를 파악해 해당업무 관련 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지원
④ 성과 보상
- 사이버보안과 사이버작전 부문에서 기존에 제공되는 상이나 훈장 현황을 파악하고, 필요할 경우 새로운 제도를 신설
⑤ 대통령배 사이버보안 경연대회
- 매년 연방기관 근로자나 군인이 참여해 미국 내 최고의 사이버보안 전문가를 파악하고, 이들에 상을 제공하는 대통령배 사이버보안 경연대회 신설
⑥ 사이버보안 기능 수행 연방기관 파악
- 예산관리실(OMB)은 정보, 방첩, 수사, 국방 등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사이버 보안 관련 연방기관과 부서의 리스트를 매년 작성하고 대통령에게 제출
○ 그 외 범부처 차원의 사이버보안 역량 격차 파악 및 대응 방안 제시
- 국가 사이버보안 인력 양성 유지 지원 보고서 권고사항 추진
- 사이버보안 역량 격차 보고서 작성
- 사이버보안 교육 대통령상 신설
- 주정부, 학계, 비영리단체, 민간부분 등이 주도적으로 국가 사이버보안 교육 이니셔티브를 적용하도록 지원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