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감염병 예방·치료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 등록일2019-06-03
  • 조회수5129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05-28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감염병예방#감염병치료#예비타당성
  • 첨부파일

 

 감염병 예방·치료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목차]

 

요 약


제 1 장 사업 개요 및 조사방법
제 1 절 사업 개요
1. 사업 추진배경 및 목적
2. 사업추진 경위
3. 사업 내용
제 2 절 조사방법
1. 사업의 특징
2. 항목별 조사방법


제 2 장 기초자료 분석
제 1 절 감염병의 개념 및 현황
1. 감염병의 정의
2. 감염병의 분류
제 2 절 감염병 관련 국내·외 정책동향
1. 국외 정책동향
2. 국내 정책동향
제 3 절 감염병 관련 산업 동향
1. 백신 분야
2. 진단 분야
3. 치료제 분야
제 4 절 감염병 관련 국내 R&D 현황
1. 감염병 관련 사업 개요
2. 감염병 관련 투자 현황


제 3 장 과학기술적 타당성 분석
제 1 절 과학기술개발계획의 적절성
1. 기획과정의 적절성
2. 사업목표의 적절성
3. 구성 및 내용의 적절성
제 2 절 과학기술개발 성공가능성
1. 기술추세 분석
2.. 과학기술수준 분석
제 3절 기존 사업과의 중복성
1. 사업수준의 중복성 검토
2. 과제수준의 중복성 검토


제 4 장 정책적 타당성 분석
제 1절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체제
1. 상위계획과의 부합성
2. 사업 추진체제 및 추진의지
제 2 절 사업 추진상의 위험요인
1. 재원조달 가능성
2. 법?제도적 위험요인


제 5 장 경제적 타당성 분석
제 1 절 비용 추정
1. 주관부처 비용규모 검토
2. 총비용
제 2 절 편익 추정
1. 사업계획서의 편익
2. 사업계획서 편익의 문제점
3. 예비타당성조사의 편익 추정
제 3 절 경제성 분석


제 6 장 종합분석 및 결론
제 1 절 결론 도출을 위한 대안 마련
1. 사업계획 원안에 대한 조사결과
2. 대안의 도출
제 2 절 AHP를 이용한 종합분석
1. AHP 기법을 활용한 종합분석의 개요
2. 종합평가 결과
제 3 절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참 고 문 헌


부 록
1. 종합평가를 위한 AHP 설문지

 

[내용]

 

요 약


제 1 장 사업 개요 및 조사방법


1. 사업 개요


가. 사업의 추진배경 및 목적


□ 사업개요


○ 사업목표
- 감염병으로부터 국민건강보호 및 보건의료기술 경쟁력 강화
· (백신) 백신 자급화 및 국산화 개발, 후속사업 연계를 통한 임상진입 가속화
: 필수예방접종 3종 포함 7종의 임상2상 완료(2029년까지)
· (진단) 확진 판정용 진단제 성능 고도화
: 맞춤형 신기술 개발 및 진단기술 상용화 17건(2029년까지)
· (치료제) 임상 중개연구, 난제 도전을 통한 치료제 국산화 및 치료기간 단축
: 치료제 개발 역량 강화 임상2상 진입 5건(2029년까지)


○ 사업비 : 6,615.1억 원(정부 : 5,080.4억 원, 민자 : 1,534.7억 원)


○ 사업기간 : 2020 ~ 2029년 (3단계 10년)


○ 사업추진체계
- 사업총괄 및 재정 의사결정 : 보건복지부
- 사업기획 및 심의 : 질병관리본부, 감염병 연구·기획 전문위원회
- 과제관리전문기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과제 기획, 평가 : 분야별 전문위원회, 연구개발과제평가단
- 연구수행주체 : 백신자립화사업단, 기업, 대학, 병원, 출연(연), 연구소
· 백신의 경우 사업단으로 구성하여 경쟁형 패키지로 추진
· 진단, 치료제의 경우 개별형 과제를 군집화한 통합형 과제로 추진


○ 주요내용
- 사업·과제 구성 및 내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