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과학연구 문화에 대한 비판적 문제제기 소개

  • 등록일2019-06-20
  • 조회수4133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06-10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이코노미스트 #과학연구 문화의 문제점#R&D brief
  • 첨부파일

 

과학연구 문화에 대한 비판적 문제제기 소개

 

 

[세계적인 시사지, 이코노미스트(Economist)에 실린 현대 과학연구 문화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적 기사, ‘How science goes wrong’의 핵심적 내용을 소개함 (2013.10.21.)]

 

※ 원자료 : https://www.economist.com/leaders/2013/10/21/how-science-goes-wrong

 

[내용]


1. 기사 배경


o 17세기 탄생 이래로 세계를 압도적으로 개선시켜 온 현대과학 발전의 핵심적토대는 철저한 검증과정이었으나 현재 이에 대한 심각한 성찰이 요구됨
- "신뢰하라, 그러나 검증하라."라는 단순하지만 명확한 원칙 하에서 현대과학의 지식이 인류와 전 세계를 발전시킴
- 그러나 현대의 과학자들이 충분한 검증의 원칙을 소홀히 하면서 과학계 전체와 인류에 대한 피해로까지 이어짐


o 이에 현대 과학연구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살펴봄으로써 과학연구가 진정한 지식으로 인류와 세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자는 의도

 

 

2. 현대 과학연구의 문제점


o 과학연구의 많은 ‘새로운’ 발견들이 잘못된 실험과 오류가 제거되지 않은 분석을 통해 도출되어 재검증되지 못하며 재연되지 못함
- 생명공학 분야에서 발표된 연구의 50% 가량은 동일하게 반복, 재연되지 못한다는 평가
- 암 연구에서의 53개 "획기적인" 연구 중, 단지 6개만이 재연 가능하다는 주장 제기
- 한 제약회사의 연구에서는 해당 분야의 67개의 중요한 논문 중에서 겨우 25% 가량만 동일하게 반복, 재연된다는 결과
- 2000년에서 2010년 사이에, 약 8만 명의 환자가 실수나 부적절한 진행을 이유로 나중에 철회된 연구에 근거하여 임상시험에 참여


o 결함이 있는 연구의 진행은 엄청난 양의 기회비용의 낭비로서 결국 현대과학 자체를 위협하는 요인인 동시에 궁극적으로 인류에 피해를 끼치는 결과로 이어짐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