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청년과학자의 현황 및 애로요인 분석 주요 결과

  • 등록일2019-07-30
  • 조회수4425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07-24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실업#에로사항#취업
  • 첨부파일
    • pdf NRF R&D Brief-2019-30-청년과학자의 현황 및 애로요인 분석 주요... (다운로드 67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청년과학자의 현황 및 애로요인 분석 주요 결과

 

 

 

 

 

[목차]

1. 조사 개요

2. 조사 결과

  (1) 청년과학자 현황 및 진로

  (2) 청년과학자의 애로사항

  (3) 청년과학자의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정부의 역할

3. 결론

 

 

[내용]

1. 조사 개요
ㅇ 조사목적 : 청년과학자들의 연구  및 학업 과정에서 겪는 애로사상 조사결과를 공유하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ㅇ 조사 기간 및 대상
- 2019.04.17.~04.25. 이공분야 대학원생/박사후연구원 등 청년과학자/ 3,301명 응답

ㅇ 분석방법
-  청년과학자의 현황 및 진로에 대한 사항은 `18년 조사 항목 및 신규 조사 항목을 추가하여 구성
- 청년과학자의  애로요인에  대해서는  `18년  주관식  조사를  통해  도출된 유형화된 응답을 기준으로 객관식 항목을 설계하고, 각 항목을 7점 척도로 설문조사 실시

 

2. 조사 결과

(1) 청년과학자 현황 및 진로

 

① 연구 및 학업 동기
- 연구 및 학업 동기로서 <교수(또는 연구원)가 되기 위해>와 <좋은 직장에 취업하기 위해>의 비중이 각각 40.8%와 26.3%로 높게 나타남.
- 전년 대비 <교수(또는 연구원)가 되기 위해>의 비중은 증가하였고, <좋은 직장에 취업하기 위해서>의 비중은 낮아짐.

 

 

z.png

 

② 미래직업에 대한 전망
-  `19년  청년과학자가  희망하는  미래직업을  조사한  결과,  10년  뒤에는 연구원,  민간기업  종사자,  교수,  20년  뒤에는  연구원,  교수,  민간기업 종사자, 그리고 30년 뒤에는 교수, 연구원, 창업가 순으로 집계됨.
- 청년과학자가 가장 선호하는 직업은 연구원이나 교수이며, 단기 또는 중기 관점에서 본인들의 직업으로 연구원을 기대하고 있었으나, 장기적으로는 교수가 될 것으로 기대함.  

 

 

zz.png

 

③ 현재 소득 규모
- `19년 청년과학자의 소득 규모는 2천만원 미만의 소득 구간이 66.8%로 가장 많은 비중으로 나타남.
- 전년 대비 소득 구간 비중 기준으로 소득 규모가 다소 높아졌으나, 유의미한 경제적인 여건 개선으로 판단되지는 않음.

 

zzz.png

 

(2) 청년과학자의 애로사항

 

① 전반적인 애로사항 현황
- `19년 청년과학자들의 애로사항은 <졸업 후 진로 불확실>, <경제적 문제>, <연구 및 학업 수행>, <지도교수와의 갈등 및 대학지원 부족> 순으로 나타남.
- 전년 대비 <졸업 후 진로의 불확실>이 4위에서 1위로 올라와 청년과학자 본인들의 진로에 대한 불안감이 증가된 것으로 보임.
- <경제적 문제>는 `18년 및 `19년 조사에서 모두 2위로 집계되었으며, `19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과학자들이 <경제적 문제>를 <졸업 후 진로 불확실>과 유사한 정도의 애로사항으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집계됨.

 

 

zzzz.png

 

② 진로 및 취업 관련 애로사항
- `18년 및 `19년 조사 결과, <계약직 등으로 인한 고용 불안> 및 <전공 관련 일자리 부족>이 청년과학자의 진로 및 취업 관련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나타남.

 

 

zzzzz.png

 

③ 경제적 문제 관련 애로사항
- `19년 청년과학자들의 경제적 문제 관련 애로사항으로 <생활·학업 병행에 따른 워라밸 부족>이 가장 높은 순위로 집계됨.
- 전년 대비 워라밸 및 복리후생 등 비금전적인 요인들의 중요성이 높게 나타난 것이 대조적임.

 

 

zzzzzz.png

 

④ 연구 및 학업 수행 관련 애로사항
- `19년 조사 결과, <연구결과에 대한 압박과 불안감>, <공동연구를 할 팀원 및 선배 부족>, <개인연구와 과제병행에 따른 시간 부족 등>의 순으로 집계됨.
- 전년  대비  연구  및  학업  수행에  직접적인  애로사항의  주요  요인들로 나타난 것이 대조적임.

 

 

zzzzzzz.png

 

⑤ 지도교수 및 대학지원 관련 애로사항
- `19년 조사결과, <대학 내 연구환경 미흡>, <관심분야 불일치 및 교수 지도 부족> 등의 순으로 집계됨.
- 전년대비 교수의 우월적 지위 등으로 인한 교수 및 학생 간 갈등이 후 순위로 나타난 것으로 대조적임.

 

 

zzzzzzzz.pn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