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식품산업의 가공기술현황과 전망

  • 등록일2008-01-04
  • 조회수20222
  • 분류그린바이오 > 식품기술
  • 저자/소속
    이진만 교수/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발간일
    2008-01-04
  • 키워드
    #식품산업
  • 첨부파일

Bioin스페셜 WebZine  2008년 2호 [식품생명공학]

 

 

식품산업의 가공기술현황과 전망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이진만 교수


Ⅰ. 서론


    고도 경제성장기를 지나 2007년 국민소득 2만불을 넘어서고 있는 우리나라는 2003년부터 불기 시작한 웰빙문화와 더불어 친환경, 유기농, 로하스(LOHAS) 등이 소비자의 트렌드로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건강지향적인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급속도로 발전되는 사회 흐름에 따라 맞벌이부부, 독신자와 같은 다수의 소비자층들은 식품섭취의 간편화, 시간절약 등을 위해 신선편이식품, 완전조리식품을 구매하는 추세가 점차 증가하고, 경제적 여유가 늘어남에 따라 식품 선택시 편의성, 건강지향성, 안전성, 고품질 등을 보다 중요시 여기게 되었으며, 식품산업분야에서도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가공기술들이 점차 발전하고 있다.


   가공식품에 대한 소비비율은 선진화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는 외식을 제외한 음식물비 지출에서 가공식품의 소비비율이 약 40%대에 이르렀고, 미국, 캐나다 등의 선진국은 약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가공식품의 소비비율이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관련기술의 발전 및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식품산업에서의 가공기술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산업적 응용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공분야의 신기술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식품가공기술의 개요


  식품가공기술은 식량자원인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등을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하여 식품원료에 물리적, 화학적 또는 미생물학적 처리를 하여 저장수명(shelf life)을 연장시키거나, 영양가를 높이며, 기호에 맞도록 할 뿐만 아니라 편의성을 부여하고, 질병예방의 기능 등 여러 가지 특성을 부여하여 식생활에 적합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1950-60년대 식품가공기술은 통조림, 제분, 제유, 제당, 제면 및 장류 등이 차지하였고, 주로 단순한 가공기술이었으며, 국민들에게 식생활은 생존과 직결된 문제로서 굶주림의 해결이 우선시 되었다. 1970년대에는 라면, 주스 등의 가공기술이 발달하였으며, 식품의 양적 충족이 이루어지면서, 질(質)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1980년대 부터는 다양한 가공식품이 발달, 식품의 고급화가 이루어졌으며, 1990년대에는 식품의 안전성, 건강성 추구에 대한 인식과 함께 식품이 다양화되었다. 급격한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소득의 증가로 2000년대에 들어서는 삶의 질 향상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다이어트식품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식품산업부분의 기술도 빠르게 변화하여 현재는 Table 1과 같이 매우 다양한 식품가공기술이 발전하여 각 식품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