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후성유전체와 전사조절
- 등록일2009-11-26
- 조회수18396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저자/소속
노태영/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학과
-
발간일
2009-11-26
-
키워드
#후성유전체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스페셜 WebZine 2009년 13호 [후성유전체 연구동향]
후성유전체와 전사조절
노태영 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학과
1. 서론
세포가 분열하는 동안 수많은 유전자들의 전사 패턴이 어떻게 안정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가 하는 문제는 세포내 유전자 조절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이슈 중의 하나이다. 여러 가지 요인 중 크로마틴 구조 변화는 유전자의 발현 양상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으며 또한 진핵생물의 발생과 세포의 분화 단계에서 중요한 조절 역할을 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렇게 DNA 염기서열 자체에는 변화가 없으나 세포가 분열되는 동안 DNA 또는 크로마틴의 변형을 통하여 유전자의 발현 양상이 다음 세대로 그대로 전달(유전)되는 현상을 후성유전이라 한다. 후성유전적 관점에서 단백질과 DNA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크로마틴은 전사를 촉진시키거나 억제시키는 데 여러 가지 형태로 영향을 미치고 있고 그 구조의 변형이 외부요인에 의하여 다이나믹하게 일어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또한 크로마틴의 내부에서 DNA와 히스톤 단백질 뿐만 아니라 RNA와 같은 물질들에 의한 영향에 의하여 세포의 다양성과 복잡성의 이해하는 한 방법론으로 후성유전에 접근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현재 후성유전 현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어떤 분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생물학의 한 갈래로서 후성유전학 연구의 중요성을 말하고자 한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전글
- 암 후성유전체의 연구 동향
-
다음글
- 에피지놈 연구의 현재와 미래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