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연구성과

나노메디컬 항암 면역세포치료 신기술 개발

  • 등록일2011-09-09
  • 조회수12514
  • 성과명
    나노메디컬 항암 면역세포치료 신기술 개발
  • 연구자명
    김영근 교수, 박영배 교수
  • 연구기관
    고려대, 서울대학교병원
  • 사업명
    미래유망 융합기술 파이오니어사업, 10대 질병정보 메디클러스터사업
  • 지원기관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연구재단, 보건복지부
  • 보도자료발간일
    2011-09-09
  • 원문링크
  • 키워드
    #항암 면역세포 #나노메디컬
  • 첨부파일

핵심내용

- 복합기능 나노신소재와 면역 세포치료기술을 융합하여, 암 치료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전기를 마련 -

 

 

 □ 항암 치료 능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나노융합기술 기반의 신개념 항암 면역세포 치료기술이 순수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되었다.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오세정)이 추진하는 「미래유망 융합기술 파이오니어사업」의 지원받고 있는 생체응용 나노결정 융합연구단(고려대 김영근 교수)과 보건복지부의 「10대 질병정보 메디클러스터사업」의 지원받고 있는 혁신형 세포치료 연구중심병원사업단(서울대학교병원 박영배 교수)은


 ○ 두 팀간의 융합연구를 통하여 내부는 산화철, 껍질은 산화아연으로 구성된 코어-쉘 구조의 나노입자를 제조한 후 수지상세포에 탑재하였고,


 ○ 동물실험을 통해 종래의 수지상세포 치료기술보다 항암 치료 능력이 뛰어난 결과를 얻는 데 성공하였다.


□ 기존의 나뭇가지 모양을 갖는 수지상 세포는 인체 내에 존재하는 면역세포를 이용한 암 치료 기술은 ‘10년 4월 미국 내 최초로 덴드리온사가 FDA의 승인을 받은 바 있으나, 환자에서 약 40일정도의 생존이득만이 관찰되었다. 

 ○ 환자에 수지상세포를 주사하면 림프절로 이동하여 암세포를 죽일 수 있는 T-세포를 교육시킨다. 수지상세포로부터 교육을 받은 T-세포는 암 조직으로 이동하여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게 한다.


 ○ 즉, T-세포는 암에 맞서 최일선에 싸우는 병정 세포라 볼 수 있으며, 수지상세포는 T-세포가 암과 잘 싸울 수 있게 T-세포를 자극시키는 훈련관이라 볼 수 있다.


□ 따라서, T-세포가 적군(암)의 특징(항원)을 잘 인식할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의 항원을 수지상세포에 탑재하는 것과 환자의 림프절에 많은 수지상세포가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수지상세포를 이용한 면역세포치료의 핵심사항이다.


 ○ 기존의 방식들은 이러한 종양특이항원의 탑재효율이 낮거나 이를 객관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어려워 항암치료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진은 직경 10 nm의 나노입자에 초정밀 기술을 활용하여 항암면역세포치료에 필요한 3가지 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하였다.


 ○ 이번에 개발한 나노입자는 마치 호두처럼 내부는 산화철(Fe3O4), 껍질은 산화아연으로 이뤄진 구조로 산화철은 자성을 띄므로 자기 MRI 영상, 산화아연(ZnO)은 반도체로서 발광현상에 의한 형광영상을 각각 제공한다.


 ○ 나노입자의 체내 독성 또한 향후 임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연구진은 재료선택 시 이러한 점을 고려하였다.


 ○ 산화철 나노입자는 이미 MRI 영상조영제로서 널리 쓰이고 있고, 산화아연 나노입자는 자외선차단제인 선블럭 크림에 쓰이고 있어 다른 반도체재료보다 독성이 없음이 이미 알려져 있는 소재이다. 또한, 산화아연 표면에 스카치테이프 역할을 하는 생체분자인 펩타이드 서열을 고안하여 대장암, 위암 같은 암세포에만 있는 분자항원을 나노입자에 부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이러한 복합구조의 나노입자를 수지상세포에 넣고, 암에 걸린 쥐에 주사하였을 때, 다른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항암효과를 관찰하였다.


 ○ 또한 개발된 나노입자 구조체는 기존의 MRI 조영제와 달리 약 1시간 내에 수지상세포 탑재가 가능하고, 종양특이항원의 수지상세포 내 전달, 수지상세포의 인체 내 전달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다기능성을 보유하고 있다.


□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기술 분야의 최고 권위의 학술지인 영국의 '네이쳐 나노테크놀로지(Nature Nanotechnology)' 9월 11일자 온라인 판에 "A multifunctional core-shell nanoparticle for dendritic cell-based cancer immunotherapy"란 제목으로 게재되었다.


□ 본 연구에는 국립암센터 이상진, 김대홍 박사, 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학부 양재성, 김상욱 교수가 참여하였고, 서울대학교 박사과정 정택진 학생, 고려대학교 박사과정 민지현 학생, 고려대학교 우준화 연구교수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 현재 본 연구와 관련한 나노입자 제조기술은 이미 우리나라, 일본, 미국 특허가 등록된 상태이며,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산화아연 복합체 기술은 PCT 특허를 출원한 상태이다.

상세내용

붙임자료 1 : 관련사진

 


1. 복합기능 산화철-산화아연 나노입자 모식도, 투과전자현미경 사진 및 자기적, 광학적 특성

 

 

 

 

2. 개발된 산화아연 결합 펩타이드와 나노입자의 친화도 분석 결과.

 

 

 

 

3. 암 항원과 나노입자의 수지상세포 내 도입 효율을 분석 결과.

 

 

 

 

4. MRI를 이용한 세포 및 생체내 나노입자 영상 분석 결과.

 

 


붙임자료 2 : 용어설명

 

1. 네이쳐 나노테크놀로지 (Nature Nanotechnology)
나노기술 분야 세계 최고의 권위지로 영향지수(Impact Factor)는 30.306 임 (비교: Nature 36.101, Science 31.364).


2. 복합기능 나노입자
MRI촬영에 활용 가능한 자기적 특성, 형광영상 촬영에 가능한 광학적 특성, 암항원의 수지상세포내 전달에 필요한 생체기능성 등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고안된 나노입자.


3. 펩타이드 서열
여러 개의 아미노산이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중합체. 일반적으로 크기가 작은 단백질을 일컬음.


4. 수지상세포 기반 항암 면역치료기술
선천면역계화 후천면역계를 기능적으로 연결하여 면역반응을 활성화 시키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면역세포인 수지상세포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암에 대한 면역반응을 증강시킴으로서 암을 치료하는 환자 맞춤형 의료 신기술. 미국 FDA는 2010년 덴드리온사의 전립선암에 대한 수지상세포 치료제를 최초로 허가하였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