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연구성과

우리 섬 독도서 쇠부리슴새 등 미기록 3종 발견

  • 등록일2013-01-30
  • 조회수6791
  • 성과명
    우리 섬 독도서 쇠부리슴새 등 미기록 3종 발견
  • 연구자명
  • 연구기관
    null
  • 사업명
  • 지원기관
    대구지방환경청 자연환경과
  • 보도자료발간일
    2013-01-30
  • 원문링크
  • 키워드
    #독도 생태계 #자생식물 유전자분석 #자생식물
  • 첨부파일

핵심내용

상세내용

 우리 섬 독도서 쇠부리슴새 등 미기록 3종 발견

 


 ◇ 대구지방환경청, '2012년도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과 자생식물 유전자분석' 결과 미기록 3종 발견

     및 멸종위기야생생물 4종 서식 지속 확인
 -  총 137종(식물 54, 조류 39, 곤충 17, 해양무척추동물 27) 서식
 ◇ 세계 최초, 산쑥⋅도깨비쇠고비에 대한 유전체 지도 완성
 - 산쑥(97개), 도깨비쇠고비(112개) 유전자 구성 확인

 

□ 국내 최초의 지질공원인 우리 섬 독도에서 미기록 생물 2종이 발굴되는 한편, 독도 자생식물 3종의 유전체 지도가 세계 최초로 완성되는 겹경사가 생겼다.


□ 환경부 소속 대구지방환경청(청장 심무경, 이하 ‘대구청’)은 독도 생물자원 확보와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해 실시한 '2012년도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과 자생식물 유전자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 조사결과, 독도에는 식물 54종, 조류 39종(멸종위기동물 4종 포함), 곤충 17종 및 해양무척추동물 27종 등 총 137종의 생물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 특히, 이번 조사를 통해 기존 연구문헌 등에 기록되지 않은 쇠부리슴새, 박새 등 조류 2종과 곤충인 초록좁쌀먼지벌레까지 총 3종의 미기록 생물 3종이 추가로 발견됐다.


○ 이와 함께 멸종위기야생동물Ⅰ급인 매와 Ⅱ급인 새매, 뿔쇠오리, 흑비둘기 등 멸종위기동물 4종이 계속 서식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 아울러 대구청은 독도 자생식물의 유전자 정보를 확보(2011년~)하기 위해 엽록체 유전체 분석 2종을 분석한 결과, 국내에서는 울릉도, 독도에만 서식하는 ‘산쑥’과 독도 유일의 양치식물인 ‘도깨비쇠고비’의 유전체 지도를 세계 최초로 완성했다.


○ 유전체(엽록체 게놈) 분석을 통해 산쑥은 97개, 도깨비쇠고비는 112개의 유전자로 구성돼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 유전체 분석 및 지도 작성은 생물 고유의 형태적, 생태적 특징을 발현하게 만드는 유전정보를 해독해 새로운 유전자 발견을 통해 유용 유전자확보와 기능탐구 및 독도 식물의 보전과 복원, 미래 새로운 생물자원으로써의 가능성을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 또한, 이와 더불어 실시된 10종의 기초유전자 분석을 통해서는 독도의 독특한 서식환경이 독도의 생물들에게 지속적인 변화와 진화를 만들어내게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기초유전자분석 결과, 조사대상 10종 중 괭이밥, 질경이, 바랭이 등 3종에서 개체변이 현상이 발견되는 등 진화(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조사대상(10종) :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개밀(Agropyton tsukushiense var. transiens(Hack.) Ohwi), 바랭이(Digitaria sanguinalis (L.) Scop.), 참억새(Miscanthus sinensis Anders.), 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R.Beauv. var. viridis), 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L.), 괭이밥(Oxalis corniculata L.), 까마중(Solanum nigrum L.), 마디풀(Polygonum aviculare L.), 질경이(Plantago asiatica L.)


□ 한편, 환경부 대구지방환경청은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2007년~2012년)을 통해 매년 새로운 생물종을 확인해 현재까지 총 88종의 미기록종을 보고했으며 앞으로도 새로운 생물종 발굴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 독도 미기록 생물종 출현현황(조류 17, 곤충 38, 해양무척추 33) >

연 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종 수

26

30

17

1

11

3

88

 

□ 환경부 대구지방환경청 관계자는 “국내에서 최초로 지질공원으로 지정된 독도의 자연환경 보전 및 생물자원에 대한 주권 확보를 위해 독도에 대한 생태계 모니터링과 자생식물 유전자 분석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1>

 

2012년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주요결과


□ 독도 일반현황

 

 ○ 구성 및 면적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1~96(101필지)
   ∙ 동도, 서도 외에 89개의 부속도서로 구성(총면적 : 187,453㎡)

 

 ○ 지리적 여건
    ∙ 동도 ≫ 북위 : 37도 14분 26.8초,  동경 : 131도 52분 10.4초
    ∙ 서도 ≫ 북위 : 37도 14분 30.6초,  동경 : 131도 51분 54.6초
    ∙ 울릉도 동남향 87.4㎞에 위치(일본 오끼섬 북서향 157.5㎞)

 

주요항

울릉도

동해

죽변

포항

부산

오끼섬

거리()

87.4

243.8

216.8

258.3

348.4

157.5

 

<독도의 위치 및 울릉도와의 거리>

 

□ 모니터링 분야 : 5개 분야
 ○ 식물상, 식생, 조류, 곤충류 및 해양무척추동물

 

□ 모니터링 기간 : 3회
 ○ 1차조사 : 2012.04.23~04.25(3일)
 ○ 2차조사 : 2012.07.21~07.23(3일)
 ○ 3차조사 : 2012.11.08~11.10(3일)

 

□ 모니터링 참여자 : 15명(관계전문가)

분     야

책임자

연 락 처

소  속

비 고

식물상 유전자분석

박선주

010-9812-3533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식물

총괄

식     생

송임금

016-765-3582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조     류

조삼래

011-402-6975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곤     충

박종균

010-3818-2736

경북대학교 생물응용학부

 

해양무척추동

차재훈

016-313-4817

(주)국토해양환경기술단

 


※ 연구원 및 조사보조원(1〜2명)은 각 분야별 전문가가 별도선정

 

□ 주요 조사결과

 

≪ 식물상 및 식생 ≫

 

 ○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V급 ‘초종용’, 한국특산식물 ‘섬괴불나무, 섬기린초, 섬초롱꽃’ 3종을 비롯한 2006~2012까지 총 54종 확인
 ○ 1947~2012까지 보고된 독도 출현식물 종에 대한 이름을 분석한 결과, 총 24종에서 기록상의 오류가 확인됨
   - 한국명 오류 4종 : 도깨비쇠고비, 가는갯는쟁이, 갯까치수염, 쇠무릎
   - 명명자 오류 6종 : 번행초, 별꽃, 댕댕이덩굴, 갯장대, 개머루, 금강아지풀
   - 정명/이명 혼동 14종 : 왕호장근, 갯괴불주머니, 섬기린초, 갓, 초종용, 갯제비쑥, 가는명아주, 술패랭이, 섬괴불나무, 섬초롱꽃, 털민들레, 큰이삭풀, 바랭이, 참억새

 

≪ 조 류 ≫

 

 ○ 3회 조사에서 총 21과 39종 8,566개체가 확인되었음
   - 최대우점종은 괭이갈매기로 8,203개체가 관찰됨
 ○ 멸종위기종으로는 Ⅰ급 ‘매’, Ⅱ급 ‘새매’, ‘흑비둘기’ 및 ‘뿔쇠오리’ 등 총 4종이 관찰되었음
   - 뿔쇠오리는 봄조사에서 성조와 유조의 사체가 동시에 관찰되어, 동도 해안가 바위틈에서 번식할 가능성이 있음
 ○ 독도 미기록 조류로 쇠부리슴새와 박새 2종이 새롭게 확인됨
   ※ 미기록 조류 확인 현황 : ’08년 5종, ’09년 6종, ’11년 4종

 

≪ 곤 충 류 ≫

 ○ 지금까지 관찰된 독도 곤충은 총 11목 65과 131속 133종으로 확인
   - 딱정벌레목 25.3%, 나비목과 파리목 17.3%, 벌목 11.1% 등으로 나타남
 ○ 여름조사에서 ‘초록좁쌀먼지벌레’를 새롭게 채집되어 서식 확인됨
   ※ 미기록 곤충 확인 현황 : ’08년 21종, ’09년 11종, ’10년 1종, ’11년 4종

 

≪ 해양무척추동물 ≫

 

 ○ 2012년 독도 조간대 해양무척추동물은 총 27종 확인
   - 연체동물 21종, 절지동물 3종 및 자포․환형․극피동물 각 1종 출현
   - 극피동물은 조하대에 서식하는 종으로 파도 등의 외부에너지에 의한 영향이나, 먹이를 쫓아 조간대 부근으로 올라오는 경우임
 ○ 가장 많은 정점에서 출현한 종은 애기삿갓조개, 좁쌀무늬총알고둥과  그리고 거북손으로 총 8회 중 4회 출현하여 50%의 출현율 보임
 ○ 7개 조사정점(동도 4, 서도 3) 중에서 동도 선착장 부근의 파식대인 E2와 E3 정점에서 각 13종이 출현 종다양성이 높게 나타남

 

 ≪ 식물 유전자 분석 ≫

 

 ○ 우리나라 울릉도․독도와 일본에만 자생하는 산쑥과 독도 유일의 양치식물인 도깨비쇠고비에 대한 유전체(엽록체 게놈) 분석
   - 산쑥 : 유전체의 총길이는 140,007bp, 총 97개의 gene으로 구성
   - 도깨비쇠고비 : 총길이는 145,803bp, 총 112개의 gene으로 구성
 ○ 도깨비쇠고비의 경우, 엽록소 생합성(Chlorophy Ⅱ biosynthesis) 관련 유전자가 3개(chlB, chlN, chlL) 존재하는 것을 확인함
   ※ 엽록소 생합성 유전자는 사계절 푸른 잎을 유지 것과 관련된 유전자
 ○ 산쑥의 경우, 울릉도 2개 집단과 독도의 동도와 서도 각 1개 집단 등 총 4개 집단에 대한 분석에서 총 3개 군집상태로 나타남
   - 울릉도 2개 집단은 하나의 군집 상태를 보인 반면, 독도는 동도와 서도가 서로 다른 독자적 집단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전적 분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됨
 ○ 독도 식물 10종의 기초유전정보 확보 및 NCBI 등록정보와 비교분석실시
   - 독도 괭이밥은 다른 지역의 괭이밥보다는 선괭이밥과 더욱 가까운 관계를 타나내고 있음
   - 질경이와 바랭이의 경우, 개체변이가 발견되어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이동․확산 경로를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붙임 2> 독도 미기록종, 멸종위기종, 특정․특산식물 사진

 

 

< 초록좁쌀먼지벌레(미기록 종) >

 

 

<초종용(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V급) >                  < 섬괴불나무(한국특산식물) >


 

<붙임 3> 독도 산쑥과 도깨비쇠고비의 엽록체 유전체 그림

 

 

산쑥의 유전체

 


도깨비쇠고비의 유전체

 


<붙임 4> 독도 식물 종명오류 현황표

 

Aspidiaceae(고란초과)

도깨비쇠고비

정명

Cyrtomium falcatum (L.f.) Presl var. falcatum

 

이명

Crtyomium falcatum Presl.(도깨비고비)

마디풀과(Polygonaceae)

왕호장근

정명

Fallopia sachalinensis (F. Schmidt) Ronse Deer.

 

이명

Reynoutria sachalinensis (F.Schmidt) Nakai

명아주과(Chenopodaceae)

가는갯는쟁이

정명

Atriplex gmelinii C.A. Mey ex. Bong

 

이명

Atriplex gmelinii C.A. mey.

가는명아주

정명

Chenopodium album var. stenophyllum Makino

 

이명

Chenopodium virgatum Thunb.

비름과(Amaranthaceae)

쇠무릎

정명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이명

Achyranthes japonica (쇠무릅)

번행초과(Aizoaceae)

번행초

정명

Tetragonia tetagonoides (Pall.) Kuntze

 

이명

Teteragonia tetragonoides O. Kuntze

석죽과(Caryophyllaceae)

술패랭이꽃

정명

Dianthis longicalyx Miq.

 

이명

Dianthus supebus var. longicalycinus Williams

 

 

Dianthus supebus L. var. longicalycinus (Maxim.) Williams

별꽃

정명

Stellaria media (L.) vill.

 

이명

Stellaria media villars.

방기과(Menispermaceae)

댕댕이덩굴

정명

Cocculus trilobus (Thunb.) DC.

 

이명

Cocculus trilobus DC.

양귀비과(Papaveraceae)

갯괴불주머니

정명

Corydalis platycarpa (Maxim ex Palib.) Makino

 

이명

Corydalis platycarpa (Maxim.) Makino

 

 

Corydalis heterocarpa var. japonica Ohwi

 

 

Corydalis heterocarpa Siebold et Zucc var. japonica (Franch .et Sav) Ohwi

십자화과(Cruciferae)

갯장대

정명

Arabis stelleri DC.

 

이명

Arabis stelleri var. japonica Fr. Sehm

정명

Brassica juncea (L.) Czern.

 

이명

Brassica juncea (L.) Czen var. juncea

 

 

Brassica juncea Czern et Coss. var. intergrifolia Sinsk

돌나물과(Crassulaceae)

섬기린초

정명

Sedum takesimense Nakai

 

이명

Sedum kamtschaticum var. takesimense M. Park

 

 

S.kamtschaticum Fischer var. takesimense(Nakai) M.

 

 

S. kamtschaticum Fisch var. takesimense(Nakai) M.Park

포도과(Vitaceae)

개머루

정명

Ampelopsis brevipedunculata (Maxim.) Trautv. f. brevipedunclata

 

이명

Ampelopsis brevipedunculata (Maxim.) Trautv.

 

 

Ampelopsis brevipedunculata var. macrophylla Regel

앵초과(rimulaoceae)

갯까치수염

정명

Lysimachia maunrtiana Lam.

 

이명

Lysimachia maunrtiana Lam.(갯까치수영)

열당과(Orobanchaceae)

초종용

정명

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

 

이명

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 et willd

인동과(Caprifoliaceae)

섬괴불나무

정명

Lonicera insularis Nakai

 

이명

Lonicera morrowi Nakai

 

 

Lonicera morrowii A. Grey

초롱꽃과(Campanulaceae)

섬초롱꽃

정명

Campanula takesimana Nakai

 

이명

Campanula puctata Lam. var. takesimana(Nakai) Kitam.

국화과(Campositae)

갯제비쑥

정명

Artemisia japonica ssp. littoricola (Kitam.) Kitam

 

이명

Artemisia japonica subsp. littoricola Kitam

 

 

Artemisia japonica Thunb. var. macrocephala Pamp.

 

 

Artemisia japonica var. macrocephala Pamp.

국화과(Compositae)

털민들레

정명

Taraxacum mongolicum Hand.-Mazz.

 

이명

Taraxacum platycarpum H.Dahlst.

벼과(Gramineae)

큰이삭풀

정명

Bromus unioloides Kunth

 

이명

Bromus unioloides H.B. & K.

 

 

Bromus catharticus Vahl.

바랭이

정명

Digitaria ciliaris (Retz.) Koel.

 

이명

Digitaria sanguinalis (L.) Scop.

참억새

정명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var. sinensis

 

이명

Miscanthus sinensis Anderss

금강아지풀

정명

Staria gluca (L.) P. Beauv.

 

이명

Staria glauca (L.) P. Beauv.

 

 

Staria glauca (L.) Beauvois Hyun.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