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연구성과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서 미기록 식물 ‘양박하’ 발견
- 등록일2013-02-19
- 조회수6183
-
성과명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서 미기록 식물 ‘양박하’ 발견
- 연구자명
-
연구기관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 사업명
-
지원기관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
보도자료발간일
2013-02-19
- 원문링크
-
키워드
#자생식물 #생물자원 #양박하
- 첨부파일
핵심내용
상세내용
◇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서 미기록 식물 1종과 멸종위기 식물 2종을 포함해 총 732종류의
매우 높음
□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이상팔, 이하 ‘자원관’)은 2012년 3월부터 11월까지 서해 최북단 도서인 백령도의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미기록 식물 1종과 멸종위기 식물 2종을 포함해 총 732종류의 자생식물이 분포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20일 발표했다.
※ 백령도 : 인천광역시 옹진군(동경 124도 53분, 북위 37도 52분)에 속하며 북한의 장연군에서 약 10km 떨어진 서해 최북단에 위치한 섬. 면적이 45.83㎢로 남한에서 16번째로 큰 섬이다.
□ 이번 조사에서 자원관은 국내 미기록 식물인 양박하(가칭, Mentha spicata)와 멸종위기 Ⅱ급인 매화마름이 백령도에 자생하는 것을 최초로 밝혀냈다.
○ 양박하는 유럽과 아시아에 넓게 분포하는 꿀풀과(科)의 식물로서 백령도 용기포항 주변의 임도에서 10여개체가 생육하는 것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됐다.
○ 매화마름은 주로 서해안 지역의 논에서 대규모 군락을 이루며 자라는 멸종위기 Ⅱ급 식물로서 백령도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이와 함께 멸종위기 Ⅱ급 대청부채를 비롯해 뇌성목, 실부추 등 국내에서는 백령도와 인근 도서에서만 발견되는 희귀종을 다수 확인했다.
○ 이중 뇌성목은 국내에서는 백령도, 대청도, 연평도에서만 자생하는 남방계 희귀식물이며 콩돌해변과 가을리 일대에서 100여개체가 자생하고 있었다.
□ 또한, 이번 조사에서는 상록성 식물인 보춘화, 보리밥나무, 줄사철나무를 포함해 나도밤나무, 말오줌때, 큰천남성 등 백령도가 북한계 생육지인 남방계 식물 15종과 시베리아여뀌, 큰천일사초, 청닭의난초 등의 북방계 희귀식물이 함께 생육하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
○ 보춘화는 흔히 ‘춘란’으로 유명한 자생 난초과 식물로서 주로 남부지역에 드물게 자라는 남방계 희귀식물이며 백령도가 최북단 자생지다.
○ 시베리아여뀌는 2008년에 백령도에서 발견된 북방계 식물로서 국내에서는 백령도에만 자라는 희귀식물이며 사곶해변 가장자리에 수천개체가 생육하고 있다.
○ 청닭의난초는 국내에서는 석회암지대에서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북방계 희귀식물로서 서해안 일대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이번에 백령도에서 확인된 자생식물은 총 732종류로, 한반도 자생식물 종(種) 수의 약 17%에 해당한다.
○ 이는 식물종 다양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진 울릉도, 가거도, 흑산도 등과 비슷하거나 더 높은 수치다.
□ 이에 대해 자원관은 백령도가 기후와 지리적 위치 등으로 인해 많은 자생종의 북한계 또는 남한계 생육지로서 이들이 공존하는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한 서식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 백령도는 국내에서 중국의 산둥반도, 북한의 황해도와 가장 가까운 지리에 위치하고, 여름철에도 30℃가 넘지 않는 비교적 서늘한 기후로 인해 다수의 북방계 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아울러 서해 난류의 영향으로 겨울철 최저기온이 같은 위도의 내륙에 비해 훨씬 높기 때문에 많은 남방계 식물의 생육도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향후 학술적 조사가 이뤄져 있지 않은 서해와 남해안의 벽지도서에 대한 생물상적 기초조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한 풍혈지, 석회암지대, 석호 등의 특이서식지에 대한 조사도 병행해 진행할 예정이다.
□ 붙임:
1. 미기록 식물 및 멸종위기 야생식물 사진(양박하, 매화마름). 각 1매.
2. 백령도 자생 주요 남방계 식물 사진(뇌성목, 보춘화). 각 1매.
3. 백령도 자생 주요 북방계 식물 사진(시베리아여뀌, 청닭의난초). 각 1매. 끝.
[붙임 1] 미기록 식물 및 멸종위기 야생식물 사진
<미기록 식물 : 양박하>
<멸종위기 야생식물 Ⅱ급종 : 매화마름>
[붙임 2] 백령도 자생 주요 남방계 식물 사진
<보춘화>
<뇌성목>
[붙임 3] 백령도 자생 주요 북방계 식물 사진
<시베리아여뀌>
<청닭의난초>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