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연구성과
국산 배에 기능성분 다량 함유 확인
- 등록일2013-12-03
- 조회수5949
-
성과명
국산 배에 기능성분 다량 함유 확인
-
연구자명
김월수, 문제학
- 연구기관
- 사업명
-
지원기관
농림축산식품부
-
보도자료발간일
2013-11-28
- 원문링크
-
키워드
#국산 배 #자궁경부암세포
- 첨부파일
핵심내용
국산 배에 기능성분 다량 함유 확인
- 자궁경부암세포 사멸, 항비만, 면역력 증강성분 등 -
《 주 요 내 용 》
◇ 배수출연구사업단 연구결과 국산 배에 항산화, 항암, 항비만, 면역력 증강 등의 효과를 가진 다양하고 유용한 50여종의 기능성 성분
다량 함유 확인
- 자궁경부암세포 사멸효과를 지닌 말락시닉에시드(malaxinic acid) 성분이 배에 함유된 사실 세계 최초 발견
- 연구결과는 식품 관련 유력학술지인 미국 농식품화학회지(J. Agric. Food Chem.) 등에 게재되어 객관성 입증
◇ 국산 배에서 비만 기능성 확인
- 실험쥐를 이용한 실험결과 체중 및 체지방 증가 작용이 감소되고 고지방 섭취에 의한 cholesterol, triglyceride 및 LDL등의 혈중 지질 증가 작용 차단 확인
◇ 배의 유용 성분들을 고순도(高純度)로 대량 추출할 수 있는 기술 개발로 부가가치 창출 가능
- 버려지는 어린배(幼果)와 낙과(落果)를 새로운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
◇ 이번 연구로 국산 배의 수출확대와 소비증대, 건강기능성 식품개발 등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는 국산 배에 항산화, 항암, 항비만, 면역력 증강 등의 효과를 가진 50여종의 유용한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는 연구결과를 배수출연구사업단 연구진이 발표 하였다고 밝혔다.
○ 배수출연구사업단(단장 김월수 전남대 교수)은 지난 4월 미국 농식품화학회지(J. Agric. Food Chem.) 등 식품관련 해외 유력학술지에 국산 배에는 항산화, 항암, 면역력 증강 효과를 나타내는 카테킨(catechin),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등 폴리페놀* 물질이 다양하게 함유되어 있다는 연구결과를 게재하였다.
* 폴리페놀 : 강한 항산화 작용이 있다고 알려지면서 ‘제7 영양소’로 주목받고 있다. 몸속에서 LDL콜레스테롤이 산화하는 것을 예방하고 동맥경화, 심장질환 등을 예방
○ 자궁경부암 세포 사멸효과를 나타내는 말락시닉 에시드(malaxinic acid)가 배에 존재함을 세계 최초로 발견하였다. 말락시닉 에시드를 실험용 쥐에게 투여한 결과, 혈액에 도달한 후에도 항산화 효과가 발현되는 형태로 흡수됨이 확인되었고, 생체 내에서도 생리활성을 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연구결과 배를 지속적으로 먹으면 항산화 작용으로 세포 생리활성을 조절하여 자궁경부암 세포증식을 억제하고 동맥경화 등과 같은 혈관계 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또한, 미백효과가 우수하여 고급화장품의 천연소재로 활용되고 있는 알부틴(arbutin)은 배의 어린과실에 다량 함유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여 성인병 예방 및 노화방지 등 체질개선에 효과가 있는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배 과육(果肉)보다 과피에 25~100배 더 많이 함유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 배즙과 배 과육을 투여한 동물의 간장, 지방 근육에서는 에너지 대사를 촉진시키는 단백질의 발현은 증가한 반면, 지방축적에 관여하는 단백질은 억제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어 배가 비만 억제에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 2004년 서울대 의대 양미희 교수(현재 숙명여대 약대)가 ‘후식으로 배를 먹으면 발암성 물질을 몸 밖으로 배출시킨다’는 효능 발표
배수출연구사업단은 배에 함유되어 있는 기능성 성분들을 고순도(高純度)로 대량추출 할 수 있는 기술까지 개발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기능성 식품·소재 산업으로 육성이 가능해져 농가 소득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2008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국산농산물 수출 확대를 위해 고품질·안전재배기술, 수확 후 관리, 가공제품 개발 등 수출애로 사항을 해결할 수 있는 연구개발(R&D)을 추진한 결과 이러한 성과를 올린 것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배수출연구사업단은 배의 기능성물질 표준품 확보 등으로 배 연구 기술력을 한 단계 높이는 계기가 되었으며,
○ 고순도의 알부틴과 말락시닉에시드를 대량으로 정제하는 방법도 개발하는데 성공하여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 그 동안 버려지던 어린 과실(솎아낸 幼果)과 매년 태풍으로 떨어진 미성숙된 배(落果)를 새로운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또한, 국산 배의 우수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함으로서 향후 수출확대와 수입 과실과의 차별성을 통한 국산 배의 소비 확대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상세내용
<참고자료 1> 연구결과가 게재된 논문 목록
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an Asi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Fruit Peel. Ref: Food Sci.
Biotechnol. 20(6), pp. 1539-1545 (2011)
2) Hydroxycinnamoylmalic Acids and Their Methyl Esters from Pear (Pyrus pyrifolia Nakai) Fruit Peel.Ref: J. Agric. Food Chem.
59, pp. 10124–10128 (2011)
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3 Low-molecular Compounds from Pear (Pyrus pyrifolia Nakai cv. Chuhwangbae) Fruit Peel.
Ref: Korean J. Food Sci. Technol. 45(2), pp. 174~179 (2013)
4) Coumaroyl Quinic Acid Derivatives and Flavonoids from Immature Pear (Pyrus pyrifolia Nakai) Fruit. Ref: Food Sci.
Biotechnol. 22(3), pp. 1-8 (2013)
5) Recovery of Arbutin in High Purity from Fruit Peels of Pear(Pyrus pyrifolia Nakai). Ref: Food Sci. Biotechnol. 20(3), pp. 801-
807 (2011)
6) Caffeoyl Triterpenes from Pear (Pyrus pyrifolia Nakai) Fruit Peel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against Oxidation of Rat
Blood Plasma. Ref: J. Agric. Food Chem., (2013)
7) Large-Scale Isolation of Highly Pure Malaxinic Acid from Immature Pear (Pyrus pyrifolia Nakai) Fruit. Ref: Food Sci.
Biotechnol. (2013)
8)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Sterol and Three Glucosides from Pear (Pyrus pyrifolia Nakai cv. Chuhwangbae) Fruit Peel.
Ref: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3)
9) An Ether and Three Ester Derivatives of 1 Phenylpropanoid from Pear (Pyrus pyrifolia Nakai cv. Chuhwangbae) Fruit and
Their Radical-Scavenging Activity. Ref: Food Sci. Biotechnol. (2013)
<참고자료 2> 배 수출연구사업단 현황
□ 설치목적
◦한·미 FTA 등 시장개방에 대비 유망 농산물 품목의 수출전략형 기술개발을 위해 '08년부터 사업단 운영
◦ 해외시장 개척 유망 분야의 수출 장애요인을 해소할 수 있도록 생산·가공·유통 단계에 걸친 종합적 연구개발 지원
□ 주관연구기관 : 전남대학교
◦사업단장 :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수 김월수
◦참여 연구원 : 문제학 교수 외 78명
□ 연구과제 : 4개 핵심과제 11개 세부과제
◦제1핵심과제: 배 수출시장 다변화를 통한 수출확대 방안 개발
◦제2핵심과제: 수출배 안정성 및 생산성 확보 기술 개발
◦제3핵심과제: 수출 활성화를 위한 품질 규격화 및 선도유지 기술 개발
◦제4핵심과제: 수출촉진을위한 배 기능성 및 가공제품개발연구
□ 주요 연구성과
◦한국배 Global GAP 인증획득 수출전문단지 육성
◦한국배 수출클레임요인 제거를 통한 현지인시장 개척
□ 연구성과의 현장 적용 사례
◦나주, 안성, 천안, 아산, 평택 한국배 수출전문단지 440농가 500ha 기술지원
◦한국배 Global GAP 인증획득
<참고자료 3> 배에 함유된 유용 화합물
□ 한국 배에 함유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화합물 50종


<참고자료 4> 관련 사진자료
□ 한국 배를 먹인 쥐들의 내장비만 억제효과 확인
◦ 한국 배를 고지방 식이 흰쥐에 먹였을 때 고지방 식이시에 나타났던 체지방 증가 작용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