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연구성과

빛으로 세포 내 단백질을 원격 조정한다!

  • 등록일2014-06-12
  • 조회수5274
  • 성과명
    빛으로 세포 내 단백질을 원격 조정한다!
  • 연구자명
    허원도
  • 연구기관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 사업명
  • 지원기관
    미래창조과학부
  • 보도자료발간일
    2014-06-12
  • 원문링크
  • 키워드
    #단백질 복합체 #빛
  • 첨부파일
    • hwp [보도]+빛으로+세포+내+단백질+기능+조절하는+분자+올가미+기술+... (다운로드 776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핵심내용

 
네이처 메소드誌 게재, 빛으로 단백질의 기능을 원격조정하여 암세포 분열 차단 성공 -
 
□ 국내 연구진이 빛을 이용하여 세포 내 특정 단백질의 기능을 원격 조정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o 광유도 분자올가미(LARIAT)*로 명명된 이 기술은 세포에 빛을 쬐어주었을 때 세포 내부에 순간적으로 단백질의 복합체인 올가미가 형성된다.
o 이 올가미를 이용하여 원하는 단백질을 움직이지 못하게 가둠으로써 특정 단백질의 기능을 차단하는 원리를 담고 있다.
* LARIAT : 본래 올가미 밧줄(동물을 잡기위해 한쪽 끝을 고리모양으로 묶은 밧줄)을 뜻하는 명사로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의 의미를 부여하여 LARIAT(Light-Activated Reversible Inhibition by Assembled Trap)라 표현함
o 연구진은 이 원리를 이용하면 세포분열을 인위적으로 막을 수 있고, 특히, 암세포 분열을 막을 수 있어 앞으로 암세포 연구 및 암 신호전달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 이번 성과는 광유도 분자올가미 기술을 통해 세포의 이동, 세포분열 등의 중요한 생명현상들을 어떠한 약물 처리 없이 빛으로만 불활성화할 수 있고, 이 모든 과정들을 빛을 켜고 끔에 따라 매우 쉽고, 가역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획기적이다.
o 또한, 매우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에 대해 실험한 결과, 같은 방법으로 쉽게 기능을 차단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이 기술이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 지금까지는 동물모델에서 유전적 또는 약물처리 방법을 통해 연구하였으나, 발달과정에서 대상 동물이 죽거나 부작용이 발생하고, 특히 세포 내의 특정한 위치에서 단백질 기능을 조절할 수 없는 등 어려움이 있었다.
 
□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이자 생화학 연구방법 분야 세계 최고권위의 저널인 네이처 메소드(Nature Methods, IF 23.565) 6월호에 소개될 예정이다. (5월 4일 온라인 논문 게재)
 
* (논문제목) 광유도 분자올가미에 의한 단백질 기능의 가역적 저해방법 개발
(Reversible protein inactivation by optogenetic trapping in cells)
* (제1저자)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상규 박사, KAIST 생명과학과 박혜림 박사과정생
* (교신저자)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허원도 그룹리더(KAIST 생명과학과 부교수)
o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 산하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직무대행 신희섭)의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단장 신희섭) 허원도 바이오이미징 그룹리더(KAIST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에 의해 이루어 졌다.
* KAIST 생명과학과 교수임을 반드시 병기함(KAIST에서 별도 홍보를 하지 않음)
 
□ 허 교수는 2008년부터 식물광수용단백질을 이용한 광유전학(optogenetics)과 바이오이미징 분야의 다양한 원천기술 개발에 주력해 왔고, 2013년 IBS 인지 및 사회성연구단에 바이오이미징 그룹리더로 참여하면서 광유전학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되었다면서
o “현재 광유도 분자올가미 기술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동물 모델에서의 암 전이 및 뇌 과학 연구를 진행 중”인데, “궁극적으로 기존의 기술로는 밝히기 어려웠던 암 치료 방법이나 뇌의 복잡한 신경망 구조에서 신경세포의 기능 등을 규명하는데 획기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o 허 교수는 6월에 LARIAT 기술 이외에 광유전학(optogenetics)분야의 2개의 다른 원천기술도 해외 유수의 저널에 발표할 예정이다.
 
 
 
 

상세내용

연 구 결 과 개 요
 
Reversible protein inactivation by optogenetic trapping in cells
Sangkyu Lee, Hyerim Park, Taeyoon Kyung, Na Yeon Kim, Sungsoo Kim, Jihoon Kim and Won Do Heo
(Nature Methods, published online 4 May 2014)
 
세포 내의 수많은 단백질들은 복잡하고 거대한 네트워크상에서 각각의 특이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이렇게 다양한 단백질들의 기능을 규명하기 위해 그 동안 많은 연구자들은 유전적인 방법으로 단백질을 없애거나, 약물을 처리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였으나 발달과정에서 동물 모델이 죽거나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하며 세포 내의 특정한 위치에서의 단백질 기능을 조절 할 수 없는 등 여러 한계점들이 있었다.
 
이러한 한계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빛으로 단백질의 기능을 저해하는 새로운 기술, 광유도 분자 올가미(LARIAT)를 개발하였다. 이는 청색 빛에 반응하는 식물 단백질의 상호작용과 다중체 단백질(multimeric protein)을 인간 세포에 적용하여, 세포에 빛을 쬐어 주었을 때 커다란 단백질 복합체(cluster)를 형성하고 복합체 내부에 원하는 특정 단백질을 가둠으로써 단백질의 기능을 저해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광유도 분자 올가미(LARIAT) 기술을 이용하여 세포의 분열, 성장, 이동 등에 관여하는 다양한 단백질들의 기능을 특이적으로 저해 할 수 있었다. 또한 빛을 쬐어주는 시간과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특정 시간에, 세포내의 특정 위치에서의 단백질 기능을 저해 할 수 있었다.
 
광유도 분자 올가미(LARIAT) 기술은 단백질의 시·공간적, 가역적인 기능 저해를 통해 기존의 기술로는 밝히기 어려웠던 다양한 단백질들의 기능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뇌와 같이 복잡한 신경망의 구조로 형성된 인체의 기관에서 특정 부위의 세포 또는 단백질이 전체 기관의 기능에서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는 지 규명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된다.
 
용 어 설 명
 
1. 네이처 메소드(Nature Methods)지
○ 생화학연구 방법(the category of Biochemical research methods)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권위를 인정받는 저널로 피인용지수(Impact Factor)는 23.565이다.
 
2. 광유도 단백질
○ 식물은 광합성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빛에 반응하는 단백질을 가지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에 있는 크립토크롬2(Chryptochrome2) 단백질을 사용하였다. 크립토크롬2 단백질은 청색광에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빛에 의존적으로 CIB1이라 불리는 짝 단백질과 상호작용 한다.
 
3. 다중체 단백질 (Multisubunit protein)
○ 여러 개의 소단위(subunit) 단백질들이 자가조립하여 형성된 단백질. 다중체 단백질은 그것을 구성하는 소단위 단백질에 의해 특이적인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다.
 
4. 단백질 복합체 (Protein clusters)
○ 수많은 다중체 단백질들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단백질 복합체
 
5. LARIAT (Light-Activated Reversible Inhibition by Assembled Trap)
○ 빛에 의존적으로 세포 내에 단백질 복합체를 형성하는 기술로서, 사용자는 세포에 빛을 쬐어줌으로써, 단백질 복합체 안에 특정 단백질을 가두어 기능을 저해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은 빛을 켜고 끔에 따라 가역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원하는 시간, 원하는 위치에서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
그 림 설 명
 
1. 광유도 분자올가미(LARIAT) 기술  
lJzJGagfNiezEcrokJIm.jpg
 
TyPtmaVOalOPkyqNRXrK.jpg
 
광유도 분자올가미(LARIAT) 기술은 다중체 단백질과 청색광에 반응하는 애기장대 식물의 광유도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인간세포에 적용하여 빛에 의존적인 분자 올가미를 조립하고 원하는 단백질을 그 안에 가두어 기능을 저해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빛으로 원격 조정하여 몸 안의 원하는 부위에서 특정 단백질의 기능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
 
2. 원하는 시간, 원하는 세포에서 빛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광유도 분자올가미(LARIAT)를 형성
JEYABIgozHyQSvlSBXpi.jpg
광유도 분자올가미(LARIAT)는 원하는 시간과 위치에 빛을 쬐어줌으로써 특정 세포에서만(흰색 화살표) 단백질 복합체의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3. 광유도 분자올가미(LARIAT) 기술을 이용한 세포 모양 및 세포이동 원격조정
OMbwaipyLbLBarCokrzz.jpg
    
세포에 청색광을 쬐어 주어 특정 단백질의 기능을 저해하면 세포의 모양을 줄였다 늘였다 하며 조절할 수 있다.
 
gShhaKAoDHMxcAgTVkPr.jpg
                                        
세포에 특정 부위에만 빛을 쬐어주어 단백질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저해하게 되면 세포의 이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4. 광유도 분자올가미(LARIAT) 기술을 이용한 세포 분열 원격조정
                                      
RAVuPxZLhWDIMycGdqMZ.jpg
미세관(microtubule)은 하나의 세포가 두 개로 분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빛을 쬐어줌으로 인해 미세관의 기능을 저해하게 되면 미세관과 염색체의 구조가 망가지면서 세포가 더 이상 분열할 수 없게 된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