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연구성과

소화액과 침 분비 세포 내의 염소이온 기능 규명

  • 등록일2015-01-22
  • 조회수4915
  • 성과명
    소화액과 침 분비 세포 내의 염소이온 기능 규명
  • 연구자명
    신동민, 홍정희, 손아란, 뮤알렘
  • 연구기관
    연세대, 가천대, 미국국립보건원
  •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지원기관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연구재단
  • 보도자료발간일
    2015-01-22
  • 원문링크
  • 키워드
    #염소이온 #소화액 #분비질환 치료
  • 첨부파일
    • hwp 150122 석간 (보도) 소화액과 침 분비 세포 내의 염소이온 기능 ... (다운로드 312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핵심내용

- 구강건조증 등 분비질환 치료 및 기능회복을 위한 핵심단서 제공 -

□ 소화액(이자액)이나 침 분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염소이온의 세포 내에서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궁금증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해소되었다. 세포막에 있으면서 소화액과 침 등 타액 분비에 핵심인 나트륨 중탄산염 공동수송체*(이하, 수송체)가 염소이온에 의해 조절됨을 밝힌 것이다.
    * 나트륨 중탄산염 공동수송체(NBCel, Na+-HCO3-cotransporter) : 나트륨과 중탄산염을 세포로 들여오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이온 수송체이다. 이렇게 들어온 중탄산염이 분비도관으로 분비되며, 분비액의 중탄산염 농도조절에도 관여

  o 수송체의 조절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구강건조증과 같은 타액 분비가 줄어드는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활성조절이 염소이온에 의해 조절됨을 알아냄으로써, 질환치료와 기능회복 등을 위한 핵심단서가 밝혀진 것이다.
    * 구강건조증 : 타액 분비가 줄어드는 질환으로 노화, 방사선 조사, 장기 약물복용의 부작용, 자가면역질환(쇼그렌증후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근본적인 치료법은 아직 없으며, 대증요법으로 증상완화에 중점을 두어 치료함.

  o 연세대 신동민 교수, 가천대 홍정희 교수, 미국국립보건원 손아란 박사 및 뮤알렘 책임연구원이 공동으로 진행한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고, 연구결과는 과학 분야 권위지인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판 1월 5일자에 게재되었다.
     (논문명 : Intracellular Cl- as a Signaling ion that Potently Regulates Na+/HCO3- Transporters) 

□ 연구팀은 수송체 단백질의 특정 부위(GXXXP motif*)가 염소이온과 상호작용하여 염소이온의 농도에 따라 수송체 활성화도가 조절된다는 것을 밝혔다. 
    * GXXXP : 글리신(G)과 프롤린(P) 사이에 세 개의 임의의 아미노산이 자리해 만들어지는 특징적인 부위로 염소이온이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o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염소이온이 어떤 과정으로 분비기능을 조절하는지 이해의 단초를 제공하게 되었으며, 다양한 분비질환의 치료를 위한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o 또한, 연구팀은 수 년 내 동물실험 진행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수송체의 구조분석을 통해 수송체 활성을 조절하는 신약물질 및 조절자를 발굴하려는 후속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 한편 이 특정 부위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여러 수송체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특징적인 부분으로 나트륨, 중탄산염 이온뿐만 아니라, 수많은 다른 이온 수송체들의 연구에 큰 전환점이 될 것이다.
  o 신동민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로 여러 이온 수송체의 세포 내 역할을 더 잘 이해하여 신약개발의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붙임] 연구결과 개요, 연구결과 문답, 용어설명, 그림설명 




상세내용

 

연 구 결 과  개 요


 1. 연구배경

  인간은 하루에 1-2리터 정도의 이자액과 1.5리터 정도의 침을 분비한다. 이자액은 위액을 중화시키기 위해, 침은 구강 내 건강을 지키기 위해 pH(산성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에 큰 역할을 하는 것이 중탄산염(HCO3-)이다. 중탄산염은 이자액과 침 속에 높은 농도로 존재하여, 급격한 pH 변화를 방지하는 완충제로서 작용한다. 이자나 침샘 세포가 중탄산염을 분비하기 위해서는 (1) 혈액으로부터 중탄산염을 세포 내부로 수송한 후에 (2) 다시 세포 밖으로 분비해야만 하는데, 이때 중탄산염을 세포 내부로 들여오는 수송체가 NBCe1이다. 하지만 이처럼 중요한 수송체인 NBCe1를 조절하는 기전에 대한 이해는 아직 불완전하다.


2. 연구내용

  연구를 통해 NBCe1이라는 단백질에서의 염소이온 기능을 밝히게 되었다. NBCe1의 구조분석을 통해 염소이온과 반응하는 GXXXP motif라는 부분이 NBCe1에 존재하며, 이 작은 단백질 구조에 의해 염소이온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돌연변이 분석을 통해 NBCe1-B와 NBCe2-C모두 GXXXP motif가 존재하고 염소이온에 의해 활성이 조절됨을 발견하였다. 

  한편 NBCe1-A의 경우에도 GXXXP motif가 존재한다. 하지만 세포 내 염소이온 농도가 변하더라도, NBCe1-A의 활성도가 변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아, 염소이온과 접촉할 수 없는 안쪽 부분에 GXXXP motif가 존재하거나, NBCe1-B와는 다른 기전에 의해 활성이 조절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후속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염소이온의 농도에 의해  NBCe1의 활성이 조절되는 기전을 밝힌 것으로 의미가 있다.


  그리고 놀라운 사실은 GXXXP motif에 IRBIT 이라는 분자도 작용한다는 것이다. IRBIT은 최근 외분비성 세포에서 중요한 신호전달의 매개체로 알려진 분자이다. IRBIT과 NBCe1의 관련성은 외분비성 세포의 분비기전이 정교한 톱니바퀴처럼 서로 맞물려 돌아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염소이온과 같은 할로겐족 원소인 브롬이온, 요오드이온, 질산염과 같은 기타 음이온의 활성조절을 검사한 결과, 염소이온이 가장 선택적으로 제어되고 있었다. NBCe1-B는 생리적 농도인 5~20mM 염소이온 농도에서 20% 정도로 활성도가 약하게 저해되었는데, 여기에 IRBIT을 추가하여 주면 65%까지 활성도가 저해되었다. 이는 NBCe1에 존재하는 자가활성억제부위에 IRBIT이 작용하여 염소이온의 민감도를 변화시킨 것이다. 염소이온과 NBCe1간의 특이적 활성 조절과 IRBIT의 역할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3. 기대효과

  염소이온 흡수 및 중탄산염을 분비하는 상피세포, 즉 타액선, 췌장선, 소장 및 폐 등의 조직에서 NBCe1은 중탄산염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NBCe1의 조절기전을 이해하면, 구강 건조증, 췌장염 및 분비도관 기능상실 등의 관련 질환 연구에서 도관 기능 회복 연구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백질 구조분석을 통해  이자나 침샘과 같은 외분비성 조직에 존재하는 다른 중요한 이온 수송체, CFTR, NKCC, ENaC 등의 구조에서도 GXXXP motif가 확인되었다. 즉 이들 수송체에서도 비슷한 조절 기전이 존재할 것을 예상되므로 확장된 연구를 통해, 기타 분비질환 치료에 중요한 진일보를 이루게 될 것이다.


연 구 결 과 문 답


이번 성과 뭐가 다른가

 

염소이온의 농도가 어떻게 NBC의 활성을 조절하는지 알게 되었다.

 

 

 

어디에 쓸 수 있나

 

다른 중요한 수송체에도 비슷한 현상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다른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가 되고, 분비질환의 치료 약물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실용화까지 필요한 시간은

 

NBC구조분석을 통한 활성조절의 목적으로 신약연구가 가속화되고 있어 합성이 성공하고 독성을 띄지 않으면 향후 3년 정도면 동물실험 등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용화를 위한 과제는

 

약물의 특이성에 달려있다. 비특이적 부작용을 줄이는 것이 실용화의 핵심 과제이다.

 

 

 

연구를 시작한 계기는

 

NBC의 N 말단 부분의 구조에 대한 조절자 연구를 진행하던 중에 염소 이온 특이적인 motif가 아형들에서 존재함이 관찰되었다. 상관없을 것 같은 이온의 상호작용이 이 motif에 작용해서 NBC 활성을 조절하지 않을까 하는 아이디어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에피소드가 있다면

 

기존 프로젝트 결과발표 과정에서 전혀 다른 이온도 NBC 활성 조절을 위한 신호 매개체일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얻게 되었다. 이 논문의 처음 시작은 고정관념에서 벋어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적용한 것이었다.

 

 

 

꼭 이루고 싶은 목표는

 

NBC 수송체는 치아분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본 연구를 치아형성 연구에도 적용해보고 싶다.

 

 

 

신진연구자를 위한 한마디

 

실험결과는 있는 그대로의 결과를 반영한다. 예상과 달리 나왔다고 쓰레기통에 던져 넣었던 데이터를 다시 유심히 살펴보기를 권하고 싶다. 그리고 그 원인을 집요하게 추적해보라고 권하고 싶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