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연구성과
불가능했던 간질의 원인 치료 길 열렸다!
- 등록일2015-06-19
- 조회수6421
-
성과명
불가능했던 간질의 원인 치료 길 열렸다!
-
연구자명
김철희
-
연구기관
충남대학교
-
사업명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자지원)
-
지원기관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연구재단
-
보도자료발간일
2015-06-19
- 원문링크
-
키워드
#간질 #뇌신경 질환 #GABA
- 첨부파일
핵심내용
상세내용
연 구 결 과 개 요
□ 연구배경
○ 뇌신경행동 관련 치료제 개발은 세계적으로도 매우 어려운 분야이며, 간질(뇌전증)의 경우에도 현재 원인치료는 불가능하며, 대안으로서 항경련제, 근이완제 등을 병원에서 주로 처방하고 있는 실정이다.
○ 최근 대규모 환자유전체 정보분석기술(NGS/GWAS)의 발달로 인하여 간질의 원인유전자 규명이 가능해짐으로써, 간질 연구 및 치료용 신약개발의 세계적 패러다임이 완전히 변하고 있다.
□ 연구내용
○ 본 연구는 X염색체 연관인 간질 및 지적장애 증상을 가지는 희귀유전질환인 Miles-Carpenter syndrome(MCS, 1991년 최초의 환자증상 보고)의 원인유전자를 밝히고, 세계 최초로 그 분자기전을 규명하였다.
○ 특히 본 연구는 미국 그린우드 유전학연구소와의 국제공동연구(Dr. Charles E. Schwartz)로 진행되었으며, MCS환자 가계를 대상으로 대규모 환자유전체 정보분석기술(NGS/GWAS)을 바탕으로 MCS 후보유전자(ZC4H2)를 발굴하였다.
○ 또한, MCS 후보유전자에 대한 생물학적인 검증을 위하여 세계적인 유전자 녹아웃 신기술인 ‘유전자가위기술’를 활용하여 질환모델동물(마우스, 제브라피쉬)의 제작에 성공하였다.
○ 질환모델동물과 수백종의 유전자마커를 이용한 기능분석 연구에 성공하여, 발병의 원인이 간질 발병기전의 최상위(up-stream)에 위치한 GABAergic inhibitory interneuron의 생성에 있음을 세계 최초로 밝혔다.
○ 신경의 종류는 크게 감각신경, 운동신경, 연합신경으로 나뉘는 데, 인간의 뇌는 대부분 연합신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연합신경의 생성과 분화에 대한 분자기전에 대한 연구는 세계적으로도 아직 시작단계에 불과하다. 본 연구의 GABA성 연합신경의 생성기전에 대한 연구성과는 생물학적 기초연구 분야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연구성과의 의미
▶ 간질에 대한 분자수준의 연구는 세계적으로도 시작단계에 불과하고, 발굴된 분자타겟 및 질환모델동물은 치료제 개발 및 원천기술로 활용
○ 현재까지 세계적으로도 간질 연구를 위한 유전적인 질환모델동물이 알려진 것이 거의 없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녹아웃 동물모델은 시급히 국내 간질 치료제 연구개발에 적극적으로 보급, 활용되어지기를 바란다. 앞으로 간질 관련 전문임상연구진, 치료제 개발기업들과의 협력연구를 통하여 신규 간질 분자타겟 및 동물모델에 대한 임상 및 신약개발 차원에서의 빠른 검증과 함께 실전에서의 활용이 절실하다.
○ 특히, MCS환자에서 보여지는 지적장애, 운동장애, 그리고 관절만곡증의 다양한 신드롬의 근본적인 원인이 억제성 GABA 신경신호전달의 부재에 따른 것이고, 그에 따라 초기에는 매우 심한 소아성 간질 증상을 나타내며, 그리고 지적장애, 운동장애, 관절만곡증 등은 부차적으로 형성된다는 구체적인 병인의 기전을 밝히게 되었다.
○ 본 연구를 통해 확보된 간질의 새로운 분자타겟 및 질환모델동물을 이용하여, 간질의 유전자진단 바이오마커, 새로운 간질치료제의 탐색, 약효평가 및 검증을 위한 상용화기술 개발이 가능하다.
▶ 자폐증 환자의 1/3이 간질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음
○ 자폐증 환자의 1/3이 간질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관련된 지적장애, 자폐증의 연구모델 및 운동장애 이상인 근위축증 (루게릭병), 관절만곡증, 파킨슨병의 기전연구에서의 활용도 기대된다.
○ 본 연구진은 향후 국내에서 본격적인 자폐연구를 위하여 최근 관련 연구자들의 모임을 구성하였다 (자폐프리즘연구회, http://cafe.daum.net/autism-prism)
연 구 결 과 문 답
이번 성과 뭐가 다른가 |
|
1. 간질에 대한 기존의 치료제는 항경련제, 근육이완제 등 대부분이 원인치료가 아닌 대안치료제였고, 이는 세계적으로도 그 분자적 기전을 몰랐기 때문 2. 간질 및 지적장애를 가지는 환자가계의 질환유전체정보, 최신의 유전자가위기술, 모델동물을 이용하여 간질의 새로운 원인유전자를 발견하고 그 발병의 기전까지 밝힘 |
|
|
|
어디에 쓸 수 있나 |
|
1. 그동안 세계적으로도 간질에 대한 유전적인 질환모델동물이 거의 없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분자타겟 및 녹아웃 질환모델동물을 확보 2. 분자타겟에 대한 기전연구를 중심으로 신개념의 간질 치료제 검색, 약효평가 등을 통해 신약개발에 직접 활용 가능 |
|
|
|
실용화까지 필요한 시간은 |
|
간질 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한 초고속, 대단위 검색법에 대한 상용화 기술은 곧바로 사용이 가능하며, 이를 이용한 간질 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한 스크리닝이 조만간 본격적으로 시작될 예정임 |
|
|
|
실용화를 위한 과제는 |
|
모델동물을 이용한 신약개발에 대한 인식의 변화 필요. 간질 치료제 관련 국내 신약개발 연구자, 기업체들에 대한 신속한 보급확대. 국제 수준의 신약개발을 위한 분자타겟 및 모델동물의 지적소유권 확보 및 국제적인 전문가 네트워크 형성 및 기술협력 |
|
|
|
연구를 시작한 계기는 |
|
2009년부터 하바드의대 게놈연구센터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신경정신질환 관련 원인유전자의 발굴, 제브라피쉬 모델동물을 이용한 후보유전자의 신속한 기능분석을 통하여, 2010, 2012년 국제적인 연구성과를 연이어 달성하고 있음.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금번의 연구는 미국 그린우드유전학연구소와의 공동연구로까지 확대하여 진행된 성과임 |
|
|
|
에피소드가 있다면 |
|
현재 전 세계적으로는 대규모 질환유전체정보, 최신의 유전자 녹아웃 방법인 유전자가위기술, 그리고 척추동물모델인 제브라피쉬 3박자로 연계한 연구성과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지만, 국내에서의 전문연구집단들 사이의 연계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임. 특히, 국내 범부처유전체사업의 모델동물에도 빠져 있음 |
|
|
|
꼭 이루고 싶은 목표는 |
|
간질 및 운동장애에 대한 새로운 분자타겟, 모델동물을 최대한 보급하여 신약개발 전선에 실질적으로 활용되어 간질 환자들에게 현실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성과를 내도록 노력 |
|
|
|
신진연구자를 위한 한마디 |
|
연구를 위한 연구, 논문이나 연구비 자체가 목적이 되어버린 어려운 여건의 현실에 굴복하지 말고, 작더라도 더 의미있고 하고싶은 연구에 조금이라도 더 시간을 투자하여 노력한다면, 결국에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것으로 생각됨.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