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연구성과
국내 연구진, 암줄기세포 에너지 대사 규명
- 등록일2015-07-17
- 조회수6025
-
성과명
국내 연구진, 암줄기세포 에너지 대사 규명
-
연구자명
한진, 송인성
-
연구기관
인제대학교
-
사업명
중점연구소지원사업
-
지원기관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
보도자료발간일
2015-07-16
- 원문링크
-
키워드
#암줄기세포 #대장암
- 첨부파일
핵심내용
상세내용
연 구 결 과 개 요
1. 연구 배경
○ 우리나라 인구 4명중 1명이 암으로 사망할 정도로 암은 국민건강에 커다란 위협요인이며, 대장암은 갑상선암과 위암에 이어 높은 발생 빈도를 나타냄. 또한, 대장암은 국소재발과 원격전이가 동반되는 광범위한 재발이 많이 발생함. 이러한 재발 및 전이 그리고 항암제 내성 원인으로 암줄기세포가 최근 대두되었으며, 암줄기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법의 필요성이 증가함. 그러나 암줄기세포의 특징 및 특이 표적 부재 등의 이유로 임상적용이 이루어지지 않음.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 재발 및 전이 원인 암줄기세포 사멸을 위한 치료 표적 발굴을 위해 암줄기세포 에너지 대사와 미토콘드리아 특징을 규명하였음.
2. 연구내용
○ 본 연구팀은 대장암 환자 수술후 절제된 암조직과 대장암 세포주로 부터 암줄기세포를 분리하여 암줄기세포 미토콘드리아 기능연구를 수행하였음. 그 결과, 암줄기세포 미토콘드리아 기능이 일반 암세포에 비해 증진되어 glycolysis 보다 oxydative phosphorylation에 의존해 ATP를 생성함을 확인하였음. 또한, 암줄기세포의 생존 및 전이 그리고 항암제 내성 원인이 과발현된 미토콘드리아 Prx3 단백질임을 유전자 기능연구와 동물실험을 통해 증명하였으며, Prx3의 과발현이 FoxM1 전사인자에 의해 유도됨을 규명하였음.
3.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해 대장암 암줄기세포는 미토콘드리아 기능이 향상되어 oxidative phosphorylation 의존적으로 에너지를 생성하며, 미토콘드리아 Prx3 단백질이 암줄기세포 생존에 중요한 인자로 FoxM1에 의해 조절됨을 규명하였음. 이는 암줄기세포사멸을 위한 표적으로 제공되어 신규항암제 개발에 기여함으로써 대장암 치료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제시해 줄 것임.
연 구 결 과 문 답
이번 성과 뭐가 다른가 |
|
대장암 암줄기세포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정밀하게 분석하였으며 이로부터 대장암 및 암줄기세포 특이인자를 규명, 새로운 항암제 표적을 제공하였음. |
|
|
|
어디에 쓸 수 있나 |
|
대장암 치료 신규 항암제 개발 표적으로 제공되며, 항암요법 치료전략 수립에 기여함. |
|
|
|
실용화까지 필요한 시간은 |
|
정확한 시간을 예상하기는 어렵지만, Prx3/ FoxM1 저해제 탐색 후속연구와 암줄기세포에 대한 깊은 연구가 진행된다면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으로 기대함. |
|
|
|
실용화를 위한 과제는 |
|
Prx3/ FoxM1 저해제 탐색 후속연구의 진행과 이를 통한 항암제 후보 물질의 발굴이 필요함. |
|
|
|
연구를 시작한 계기는 |
|
대장암 전이와 재발 문제 해결을 위한 암세포 미토콘드리아 기능 변화 분석과 암 발생 및 기원에 대한 의문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음. |
|
|
|
에피소드가 있다면 |
|
연구초기에 보편화 되지 않은 실험기법과 실험장비들로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나, 하나하나 배우고 익히는 시간이 어려웠던 만큼 많이 즐거웠음. |
|
|
|
꼭 이루고 싶은 목표는 |
|
암줄기세포 특이 인자 Prx3/ FoxM1을 타겟으로하는 대장암 표적 치료제의 개발 |
|
|
|
신진연구자를 위한 한마디 |
|
미토콘드리아 연구에 많은 관심과 연구 부탁합니다.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