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연구성과
KAIST·아주대학교, 공동연구로 단백질 변형기술을 이용한 동물모델 개발
- 등록일2017-03-06
- 조회수5059
-
성과명
KAIST·아주대학교, 공동연구로 단백질 변형기술을 이용한 동물모델 개발
-
연구자명
박희성, 박찬배
-
연구기관
KAIST, 아주대학교
-
사업명
미래 맞춤형 모델동물개발 연구사업단 사업
-
지원기관
식품의약품안전처
-
보도자료발간일
2017-03-06
- 원문링크
-
키워드
#단백질 변형기술
- 첨부파일
핵심내용
KAIST‧아주대학교, 공동연구로 단백질 변형기술을 이용한 동물모델 개발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체내 단백질을 비정상적으로 변형시켜 암, 치매 등 퇴행성 질환 등을 일으킬 수 있는 마우스 동물모델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 이번 연구는 식약처 연구사업단 용역 과제로 실시한 것으로 KAIST 박희성 교수와 아주대학교 박찬배 교수가 공동으로 수행하였으며,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itons)’ 연구결과가 게재(2월 21일, 온라인판)되어 개발된 동물모델의 우수성이 소개되었다.
※ 논문명: Expanding the genetic code of Mus musculus
□ 이번에 개발된 동물모델은 수정 후 모체에서 성장하는 과정이나 간, 폐 등 특정 조직·기관에서 표적 단백질을 비정상적으로 아세틸화시켜 질병 치료에 필요한 암, 치매 등 다양한 질환을 고의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 아세틸화 : 생체내 유기물질 속의 수소원자를 아세틸기로 바꾸는 반응으로, 단백질 등 유기물질의 변형을 유발함
※ 표적단백질 : 변형을 통해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조직·기관 속의 단백질
○ 또한 암, 치매 등 질병의 원인 규명 뿐만 아니라 맞춤형 표적항암제 및 뇌신경 치료제 등 글로벌 신약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다.
○ 참고로 우리 몸에서 만들어지는 2만 여종의 단백질은 생합성 후 아세틸화, 인산화, 당화 등 변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을 거쳐 생체내에서 세포 신호 전달, 성장 등 신진대사 활동을 조절하고 있으며, 비정상적인 단백질 변형이 일어나면 세포의 신호 전달과 대사 활동이 손상되어 암, 치매, 당뇨 등 중증 질환을 일으키게 된다.
□ 안전평가원은 ‘14년부터 「미래 맞춤형 모델 동물개발 연구사업단」을 통해 비만·당뇨, 종양, 면역결핍 마우스 등 34종의 동물을 개발하였으며, 18년까지 고지혈증 마우스 등 26종을 추가로 개발해 신약개발 및 의약품 평가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상세내용
♣ 연구사업단 소개
□ 사업단명 : 미래 맞춤형 모델동물개발 연구사업단
○ 수행기관(사업단장)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이한웅 교수)
- 공동 연구기관 : KAIST, 아주대학교, 서울대학교, 건국대학교,
국립암센터 등
○ 사업기간 : 5년(‘14~’18년)
○ 연 구 비 : 총 규모 80억원
□ 개요
○ 연구배경 및 필요성
- 질환모델동물은 신약개발 연구에 활용되어 성공률을 높이고 기간을 단축시켜 질환모델동물 사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신약개발 및 식·의약 안전성·유효성 평가에 필요한 실험동물자원을 지원하기 위한 기반 구축이 필요함
○ 연구목표
- 의약품개발 등에 사용 가능한 국산 질환모델동물 60종 확보
○ 질환모델동물 개발 연차실적 및 계획
- 신약개발 및 의약품 평가 연구에 활용 가능한 암, 대사증후군, 순환계 및 면역계 질환모델동물 60종 개발(‘14~’18)
연도 |
‘14 |
‘15 |
‘16 |
‘17(계획) |
‘18(계획) |
계 |
암 및 대사증후군 질환 |
- |
6종 |
6종 |
4종 |
4종 |
20종 |
순환계 및 면역계 질환 |
- |
2종 |
7종 |
5종 |
4종 |
18종 |
주요 인체 질환 |
5종 |
2종 |
6종 |
5종 |
4종 |
22종 |
계 |
5종 |
10종 |
19종 |
14종 |
12종 |
60종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