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교육
2016 바이오 미래포럼
- 등록일2016-11-05
- 조회수11630
- 구분 국내
- 행사교육분류 행사
-
주관기관
한국연구재단,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행사장소
서울 강남 한국과학기술회관
-
행사기간
2016-11-07 ~ 2016-11-08
- 원문링크
- 첨부파일
2016 바이오 미래포럼
1. 추진 배경
○ 바이오분야 정책아젠다 및 2017년도 주요 정책과제 발굴을 위한 미국, OECD, EU 등 국내외 정책동향 교류
* 국내외 바이오정책 및 바이오생태계 동향 중심으로 포럼 세션 구성
○ 기술의 Lab to Market을 촉진하고, 바이오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연구자 중심의 바이오생태계 구성원(산·학·연·병 등) 간 협력의 장 마련
2. 행사 개요(안)
○ (일시/장소) ’16.11.7.(월)~11.8.(화) / 서울 강남 한국과학기술회관
○ (주최) 미래창조과학부
※ (주관) 한국연구재단,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주제) Bio, Lab to Market
○ (참석대상) 국내외 정책담당자 및 산·학·연 전문가 등 총 500여명
※ (주요 VIP) 국회의원(미정), 이명철 과학기술한림원장 등
3. 주요 프로그램
○ (포럼) 국내외 바이오정책 동향 및 바이오생태계 활성화 방안 논의
※ BT 분야 유공자 장관 표창 진행(1일차 오전)
○ (연구동향 Brief) 미래부 R&D 지원분야 연구동향 교류 및 기획방향 설명
※ 연구재단 PM, RP 중심으로 분야별 우수성과 발표 및 연구동향 설명
○ (데모데이, ‘바이오 Market’) 연구자와 투자자·기업 간 기술이전·공동연구 등의 R&D 연계성과 창출을 위한 파트너링의 장 마련
※ 주요 사업별 연구성과를 전시하고 ‘네트워킹 라운지’를 운영하며, 포럼에서 이루어진 기술이전 성과는 파트너링 후속 검증·보완 R&D지원사업(’17년 추진 예정)과 연계
참고1 프로그램(안)
□ 포럼 1일차(동시통역 진행)
시간 |
내용 |
비고 |
09:30~10:30(60‘) |
1일차 등록 |
|
10:30~11:00(30‘) |
<개회사 및 축사> ① 개회사(10‘) ② 축사(국회의원)(10‘) ③ 축사(연구계)(10‘) |
① 미래부 장관(차관) ② 국회위원(미정) ③ 이명철(한국과학기술한림원장) |
11:00~11:20(20‘) |
<특별행사 : BT 과학자 미래부 장관 표창식> |
수여자 : 미래부 장관(차관) 진행 : 아나운서 |
11:20~11:50(30‘) |
<특별세션 : Bioeconomy, the Challenge of the Century for Policy Maker> |
① James Philp(OECD) |
12:00~13:30(90‘) |
점심식사 |
|
13:20~15:00(100‘) |
① (Korea) (25‘) ② (US) Technology Transfer Policy(25‘) ③ (OECD) Open and Responsible Health Innovation(25‘) ④ (China) (25‘) |
① 장규태 원장(KRIBB) ② Steven M. Ferguson(NIH) ③ Hermann Garden(OECD) ④ Prof. Qi Zhou(周琪) (중국과학원) |
15:00~15:20(20‘) |
Break Time |
|
15:20~16:50(90‘) |
① Lab goes to Market (30‘) ② Biotechnology Industry(30‘) ③ Global Innovation Network and Asian Catch-up Models in Bio-Health Industry(30’) |
① Prof. Omid Farokhzad(Harvard Univ.) ② Prof. Abraham J. Shragge(UCSD(KAIST)) ③ 김석관 본부장(STEPI) |
□ 포럼 2일차
시간 |
내용 |
비고 |
09:00~10:00 |
2일차 등록 |
|
10:00~12:00 |
<특별세션 :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①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총괄 소개(10’) ② 생명공학 분과(10’) ③ RED 분과(10’) ④ WHITE 분과(10’) ⑤ GREEN 분과(10’) ⑥ 산업화(융합신산업)분과(10’) ⑦ 규제/인문 분과(10’) ⑧ 의견수렴(50’) |
① 이영식(총괄위원장) ② 허광래(분과위원장) ③ 정성철(분과위원장) ④ 서정아(분과위원장) ⑤ 박경문(분과위원장) ⑥ 이정일(분과위원장) ⑦ 이봉용(분과위원장) |
12:00~13:30 |
점심식사 |
|
13:30~14:50 |
① 지속성장 바이오경제 실현을 위한 생태계 진단(20’) ② 대학의 바이오분야 성과촉진 방안(20’) ③ 바이오클러스터 성장 전략과 신생태계 조성(20’) ④ 마크로젠의 해외 시장 진출 사례 및 전략(20’) |
① 유승준 센터장(바이오협회) ② 김성훈 교수(서울대학교) ③ 임재승 전무(차바이오텍) ④ 전현용 대표이사(마크로젠) |
14:50~15:10 |
Break Time |
|
15:10~16:30 |
① 바이오 창조경제를 위한 생태계 활성화 방안(20’) ② 바이오 생태계에서 벤처캐피탈의 역할(20’) ③ 글로벌 제약, 바이오 동향 및 우리기업들의 전략(20’) ④ 바이오 특허 창출(20’) |
① 조낙현 과장(미래부) ② 신정섭 본부장 (KB인베스트먼트) ③ 조영국 대표(Global Venture Network) ④ 이재영 본부장(특허법인 정안) |
참고2 연구동향 Brief 계획(안)
□ 연구동향 Brief 1일차(신약차세대바이오 분야)
시간 |
내용 |
비고 |
13:30~14:00(30‘) |
1일차 등록 |
|
14:00~14:10(10‘) |
<2017년 신약바이오분야 기획방향> |
신약차세대바이오 PM (김재상 단장) |
14:10~14:40(30‘) |
<특별세션 : 신약차세대바이오분야 국가 R&D과제의 지식재산권, 특허권 귀속과 활용> - 우수 성과를 중심으로 기술연계 사례 컨설팅 |
이희숙 변리사(시원국제특허법률사무소) |
14:40~15:00(20‘) |
<특별세션 : 신약차세대바이오분야 R&D 기획의 부처간 상생과 협력 방안> |
보건산업진흥원 윤경식 단장 |
15:00~15:20(20‘) |
Break Time |
|
15:20~16:20(60‘) |
<신약바이오분야 R&D 기획의 Reengineering> ① 신약바이오 기획방향 Part 1(15‘) ② 신약바이오 기획방향 Part 2(15‘) ③ 신약바이오 기획방향 Part 3(15‘) ④ 신약바이오 우수연구성과 기술소개(15‘) |
① 이종서 RP(R&D Planner) ② 박장환 RP(R&D Planner) ③ 유지환 RP(R&D Planner) ④ 권기선 책임연구원 (KRIBB) |
16:20~16:40(20‘) |
<신약바이오 기획 고도화를 위한 Homecoming Day> - 前 PM 초청 / BIO분야 기획동향의 과거, 현재, 미래 |
허광래 교수(충남대) |
16:40~17:00(20‘) |
Q/A |
|
□ 연구동향 Brief 2일차(뇌첨단의공학 분야)
시간 |
내용 |
비고 |
13:30~14:00(30‘) |
1일차 등록 |
|
14:00~14:10(10‘) |
<2017년 뇌첨단의공학분야 기획방향> |
뇌첨단의공학분야 PM (허성오 단장) |
14:10~14:40(30‘) |
<특별세션 : 뇌첨단의공학분야 국가 R&D과제의 지식재산권, 특허권 귀속과 활용> - 우수 성과를 중심으로 기술연계 사례 컨설팅 |
고승진 변리사(다나특허법인) |
14:40~15:00(20‘) |
<특별세션 : 뇌첨단의공학분야 R&D 기획의 부처간 상생과 협력 방안> |
산업기술평가원 허영 PD |
15:00~15:20(20‘) |
Break Time |
|
15:20~16:20(60‘) |
<뇌첨단의공학분야 R&D 기획의 Reengineering> ① 뇌첨단의공학 기획방향 Part 1(15‘) ② 뇌첨단의공학 기획방향 Part 2(15‘) ③ 뇌첨단의공학 기획방향 Part 3(15‘) ④ 뇌첨단의공학 우수연구성과 기술소개(15‘) |
① 손정우 RP(R&D Planner) ② 박두상 RP(R&D Planner) ③ 남기창 RP(R&D Planner) ④ 박윤정 교수(서울대) |
16:20~16:40(20‘) |
<뇌첨단의공학 기획 고도화를 위한 Homecoming Day> - 前 PM 초청 / BIO분야 기획동향의 과거, 현재, 미래 |
임혜원 책임연구원(KIST) |
16:40~17:00(20‘) |
Q/A |
|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