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행사/교육

[BRIC Webinar]LADL : 빛을 이용한 3차원 유전체 (3D genome) 구조와 유전자 발현의 조절[Nat. Methods]

  • 등록일2019-08-14
  • 조회수5107
  • 구분 국내
  • 행사교육분류 행사
  • 주관기관
    BRIC
  • 행사장소
    Online 개최
  • 행사기간
    2019-08-30
  • 원문링크
  • 첨부파일

 

 [BRIC Webinar]LADL : 빛을 이용한 3차원 유전체 (3D genome) 구조와 유전자 발현의 조절[Nat. Methods]

 

 

 


사전접수: 2019.08.13 ~ 2019.08.29

 

일시: 2019.08.30 (10:00)

 

장소: Online 개최

 

주관: BRIC

 

문의: member@ibric.org

 

 

세미나 개요


큰 사이즈의 유전체 (genome)는 작은 세포 안에서 수만 번 접히고 접혀 있고 그 과정 중에 멀리 떨어진 loci 끼리의 interactions이 만들어지게 되는데, 그것을 일반적으로 loop라고 부릅니다. 각 유전체 마다 수많은 loop가 존재하고 그 중엔 유전자 발현과 관련 있을 거라고 알려진 것들도 많이 있습니다만, 아직 그 loop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그리고 그 관련 유전자의 발현에 loop가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메커니즘 연구는 아직 많은 부분에서 어려운 점이 많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LADL 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소개합니다. LADL은 dCas9과 Arabidopsis에서 기원한 CiBN과 Cryptochrome 2 (CRY2)를 활용한 도구로서, 푸른 빛을 쏘아주게 되면 자기네들끼리 빠르게 결합하는 특징을 이용하여 내가 원하는 loci에 loop를 만들어주는 기술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LADL을 줄기세포의 Klf4와 interact 하는 슈퍼인헨서와 그와 멀리 떨어진 Zfp462의 promoter에 적용하였습니다. 5C를 통해 확인해 본 결과, LADL 줄기세포에 푸른 빛을 쏘아주자 슈퍼인헨서는 기존 Klf4와의 loop에서 벗어나서 >500kb 떨어진 Zfp462의 promoter와 새로운 loop을 이루었습니다. 또한 single molecule RNA FISH를 통해 확인해 본 결과 LADL을 이용해서 슈퍼인헨서와 새로운 loop를 이룬 Zfp462의 발현이 기존에 비해 약 30%정도 더 발현됨을 알 수 있었습니다.


LADL은 외부의 약품 없이도 빛을 이용하여 빠른 속도로 3차원 loop 구조를 만들 수 있었으며, 앞으로의 loop 형성과 유전자 발현 등 많은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진행 방법


○ 실시간 온라인 세미나로 시행하며, PC/노트북, 안드로이드 계열의 모바일 기기로 접속합니다.
○ 첫 접속시 Webex 프로그램을 설치하셔야 합니다(약 10초 소요).
○ 회당 정원은 100명 미만으로 열립니다.
○ 예상소요시간은 총 50분이며, 연사발표 30분, 질문 및 토의 20분으로 진행합니다.
○ 발표언어:

 


사전 준비


○ 접속은 웨비나 시작 30분 전부터 가능합니다.(BRIC에서 개설을 하여야 접속이 가능합니다.)
○ 세미나 참석에 관한 구체적인 안내는 참석을 접수하신 분들에게 메일을 통해 개별적으로 안내해 드립니다.
○ 참석 신청을 하였으나 온라인 세미나에 참석하지 못하는 분은 다른 분이 참석할 수 있도록 사전에 연락 주시길 바랍니다.

 

 

접수

 

https://www.ibric.org/seminar/seminar_application.php?state=insert&id=152&target=1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