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동향
2008년, 농업생명공학의 다양한 발전
- 등록일2009-01-09
- 조회수12579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09-01-06
-
출처
바이오안전성포탈
- 원문링크
-
키워드
#농업생명공학
2008년, 농업생명공학의 다양한 발전
미농무부(USDA)는 2008년 봄철의 많은 비와 곡물성장기에 내린 홍수에도 불구하고 옥수수와 대두의 생산량이 증가했다고 평가하고 있으며, 이것은 1995년 이후 도입한 농명생명공학(GM기술)이 부분적으로 농업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2008년 옥수수 생산량은 작년에 이어 역대 2위에 해당하며, 대두 생산량은 역대 4위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했다.
세계적인 곡물가격상승과 일부국가들에서 제기된 식량부족에 대한 우려가 부각되면서, 대부분의 국가들은 농업에 대한 생명공학의 유익함을 재인식하기 시작했다.
지난 7월, 前영국수석과학자문관인 David Sir경은 필요한 만큼의 생산량 향상을 가져다 줄 수 있는 단한가지의 기술이 있으며, 그것은 농업생명공학기술이라고 말했다.
지난 10월, 이탈리아의 보건복지부장관인 Maurizio Sacconi는 GMO재배금지령의 철회를 정부에 요구했다.
인구의 30%가 영양부족상태인 아프리카의 사하라사막주변 국가들의 대부분은 생산량증대의 필요성과 제한된 급수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농업생명공학을 수용할 것을 고려하고 있다. 또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과학자들은 메마른 토양에서 잘 번식하는 잡곡의 영양성분과 소화흡수성이 개량된 GM사탕수수의 시험재배를 승인받았다.
여러 연구결과들이 생명공학을 이용해서 재배한 식품들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지도가 증가했음을 보여주었다. 아시아 식품정보센터의 설문조사결과, 대량의 고품질 식품수요가 증가하는 지역들이라는 면에서 볼 때, 중국, 인도, 일본, 필리핀, 대한민국의 소비자들은 농업생명공학을 이용해서 생산한 식품을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동향
- 제도동향 국가별 바이오안전성 동향: 아프리카 지역 2021 2021-11-24
- 정책동향 Independent Assessment of the Agricultural Technical Cooperation Working Group and High Level Policy Dialogue on Agricultural Biotechnology 2012-09-10
- 산업동향 농업생명공학 이야기 2012-03-28
- 산업동향 식물공장·빌딩농장 등 ‘눈에 띄네’ : 세계는 지금 농업 비즈니스 ‘열풍’ 2009-10-01
- 산업동향 ‘식량안보·녹색성장’ 다목적 카드 : ‘한국판 카길’을 꿈꾸는 농업 기업들 2009-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