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동향
‘슈퍼작물’에 대한 전망
- 등록일2009-10-13
- 조회수6613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09-10-13
-
출처
바이오안전전성포탈
- 원문링크
-
키워드
#슈퍼작물
- 첨부파일
‘슈퍼작물’에 대한 전망
The Scientist, Volume 23, Issue 9, Page 30
○ 과학자들이 후진국의 미량원소 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몇몇 종류의 GM작물을 개발해왔다. 아직까지 대량으로 재배되고 있지는 않지만 곧 상황은 변할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 기아에 허덕이는 인구는 10억! 이는 지구상에서 6명중 1명꼴로 미국, 인도네시아, 브라질,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인구를 모두 합친 수와 같다.
○인구는 증가하고 자원은 부족함에 따라 기아 해결에 대한 전망이 밝지 못한 상황이다. 더 많은 사람들이 굶주리게 될 것이고 영양부족과 질병에 더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받게 되어 결국 이로 인한 사망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 하지만 이는 한 쪽 면만의 이야기다. 2004년 UN보고서에 의하면 지구 절반 인구가 미량원소의 결핍으로 고통 받을 수 있다고 한다. 이는 소위 ‘감추어진 기아’로 많은 양의 칼로리는 소비하지만 정작 필요한 미량원소인 비타민과 미네랄의 섭취가 부족한데서 오는 현상이다. 이것은 생각보다 심각해서 미량원소 결핍현상으로 인해 태아의 사망률이 높아지고 선천적 장애나 아이의 면역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시험연구용 LMO 안전관리 해설집
-
다음글
- 의약품허가지원정보 2009 가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