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제도동향

일본, iPS 세포 연구의 사회적·윤리적 과제 및 대응

  • 등록일2010-02-05
  • 조회수9314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일본, iPS 세포 연구의 사회적·윤리적 과제 및 대응

 

 

1. 검토 배경
 ○ iPS 세포는 사람의 세포로부터 비교적 간단한 조작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iPS 세포를 이용한 연구와 임상 응용에서 여러 가지 윤리적·법적·사회적 과제가 발생하고 있다.

 

2. iPS 세포의 윤리적·법적·사회적 과제

 

가. 프라이버시 보호
 ○ 프라이버시 보호는 iPS 세포의 수립과 사용에서 최대 과제이다.
  - iPS 세포는 세포 제공자의 유전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으며, 무한 증식한다. 부적절한 형태로 유전 정보가 유출되어, 세포 제공자의 프라이버시가 침범되면 사회적, 경제적, 그 외의 불이익을 입을 우려가 있다.
 ○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은 연결 불가능한 익명화를 실시하는 것이다.
  - 그렇지만, iPS 세포를 이용한 기초연구는 목적에 따라, 그리고 임상 응용을 위해서는 세포 제공자의 건강 상태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할 필요가 있다.
  - 연결 가능/불가능을 어떠한 경우에 적용할 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 iPS 세포의 연구과정에서 "부수적인 발견(Incidental finding)"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 연구과정에서 제공자 세포로부터 어떠한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 높은 유전적 변이를 발견할 수 있으면, 이러한 부수적인 발견이 있었을 경우의 대응방안(본인에게 전할지) 등은 인체 시료를 이용하는 연구 전반에 공통된 과제이다.

 

나. 동의 및 동의 철회
 ○ 연구 실시시, 연구 내용을 설명해 본인의 자발적 의사에 의한 동의(Informed consent)를 얻을 필요가 있다.
  - 그렇지만, 무한하게 증식해, 향후 예상할 수 없는 연구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iPS 세포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의미의 완전한 Informed consent를 얻는 것은 어렵다.
 ○ 연구윤리 원칙으로서 시료 제공자는 연구 개시 이후 언제라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게 되어 있다.
  - 분명한 방침을 결정한 다음, 연구를 진행시켜 연구 도중 단계에서 혼란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