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동향
국립환경과학원, LMO 은신처 찾아 삼천리 !
- 등록일2010-11-30
- 조회수8752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0-11-24
-
출처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국립환과학원#LMO
- 첨부파일
국립환경과학원, LMO 은신처 찾아 삼천리 !
◇ 운송·보관 중 빠져나간 수입 LMO의 환경 중 생존여부, 전국 단위 추적 조사 실시(‘09.4∼‘09.11)
◇ 모델 식물인 유전자변형 까마중을 이용하여 유기수은 정화가능성을 확인하고 자연생태계 위해성 평가 수행
□ 국립환경과학원은 전국 5개 권역의 상위 10위권 사료공장 주변 지역을 대상으로 유전자변형생물체(LMO) 유출 여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 그 결과 일부지역에서 LMO 의심 시료를 확보하고 자체 구축한 유전자분석기법을 이용해서 LMO 특성을 정밀분석 중이다(‘09.12∼‘10.10).
※ 현행LMO법상 검출기법은 주관기관인 보건복지부(식약청)와 농림수산식품부(농산물품질관리원)만 개발사로부터 제출받아 보유
- 확보한 시료가 LMO로 최종 확인될 경우 농림수산식품부에 통보하고 사료공장 주변 LMO 유출방지를 위한 합동 대처방안 마련을 요구 할 것이라고 밝혔다.
□ 또한, 연구팀은 지난 5년여의 연구 끝에 시험연구용 모델 수은정화용 유전자변형(LM) 까마중을 개발하여 자체 환경위해성 평가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붙임 2)
- 수은정화용 LM 까마중에 도입된 유전자는 유독성의 유기수은을 무기수은으로 바꾸는 도입유전자(merB)로 다음 세대에도 안정적으로 유전됨을 확인하였다.
- LM 까마중이 심겨진 토양 내의 세균, 방선균 등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은 야생형 까마중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으며, 도입유전자(merB)는 토양 미생물로 이동되지 않았다.
- 그러나, 도입유전자가 인공수분을 통해 야생형으로 이동이 확인됨에 따라, 국내 유전자원 오염방지를 위한 안전관리 대책도 철처히 준비할 계획이다.
□ 향후 국립환경과학원은 미래 국가성장동력을 이끌 생명공학기술의 산물인 LMO의 안전한 이용을 보장하고 국내 고유생물 유전자원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 LMO를 국내에 수입하기 전에 미리 환경(자연생태계)에 미칠 영향을 검증하고,
- 운송·보관·사용 중에 환경 유출된 LMO의 생존 가능성을 추적조사(모니터링)할 계획이다.
□ 이번 연구결과는 현재 환경부에서 시행중인 ‘LMO 안전관리 계획’에 적극 반영하여 LMO의 건전한 이용과 국내 생태환경 보전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동향
- 제도동향 LMO법 상 LMO 연구시설 공동운영에 관한 법해석 2025-01-20
- 제도동향 "EFSA의 위해성평가에 환경 마이크로바이옴을 통합하기 위한 로드맵" 주요 내용 검토 및 시사점 2024-10-14
- 제도동향 [KBCH보고서] 일본 2023 (KBCH 동향보고서 No. 2023-10) 2024-01-24
- 제도동향 제35차 KBCH 포럼 세미나 - 책임·구제 추가의정서 국내 이행을 위한 유전자변형생물체법 개정안 마련 제언' 자료집 , 결과록 및 영상 2023-12-29
- 제도동향 [KBCH브리핑] 21대 국회 계류 중인 LMO법 개정(안) 현황 및 국회 검토의견 소개(2023-18) 2023-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