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제도동향

유전자변형 작물의 수입 현황과 과제

  • 등록일2013-07-22
  • 조회수6878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3-06-27
  • 출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유전자변형 작물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유전자변형 작물의 수입 현황과 과제

 

목차

1. 유전자변형 작물의 세계 동향

2. 유전자변형 작물의 국내 수입 현황

3. 유전자변형 작물의 관련 법률과 제도

4. 시사점과 향후 과제

 

 

요약문

세계적으로 인구는 증가하는 데 반해 경지 면적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지구촌 식량 부족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음. 이에 따라 안정적 식량 공급에 대한 필요성이 점점 대두되면서 환경오염을 줄이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기술로 유전자변형(GMO) 유전공법이 발달함. GMO 작물 생산은 농가 소득 증대, 농약 사용량 감소, 온실가스 배출 감소 등의 효과가 있음.

 

‘국제생명공학응용정보서비스(ISAAA)’에 의하면, 2012년 세계 GMO 작물의 재배면적은 점점 증가하여 처음 재배되기 시작한 1996년 대비 100배 이상 증가한 약 1억 7,030만 ha를 기록함. 주요 GMO 작물은 대두, 면화, 옥수수, 캐놀라 등이고, 주요 생산국은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캐나다 등지이며, 최근에는 점차 그 밖의 국가로 확산되면서 생산국이 다변화되고 있는 추세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