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대사성 증후군의 최근 연구 동향

  • 등록일2008-10-31
  • 조회수6320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대사성 증후군의 최근 연구 동향

 
 

조선대학교 약학대학 오원근

 
1. 대사성 증후군의 정의 및 발생 환경
 

현대사회의 도시화된 생활환경, 과도한 영양섭취를 일으키는 다양한 즉석식품의 범람과 전통적 농경사회에서 요구하던 노동력 위주의 경제활동에서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한 사회적 업무환경으로의 전환은 과다한 에너지의 저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사성 증후군의 발현을 필연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다. 대사성 증후군 (metabolic syndrome, syndrome X,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이란 비만, 고혈압, 당
뇨병 (당대사 이상 포함), 이상 지혈증(중성지방 상승, 고밀도 콜레스테롤 감소), 고혈압 등의 여러 질환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들 대사성 증후군은 최종적으로는 인간의 주요 사망원인인 동맥경화성 심혈관계질환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CVD)를 초
래하는 원인 질환이다.
 
 
☞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