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腦과학시대] 대한민국 新동력 腦과학
- 등록일2009-08-11
- 조회수7651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09-08-10
-
출처
SIRIC
- 원문링크
-
키워드
#뇌연구#뇌과학#뇌혁명#뇌 영상 장비
[腦과학시대] 대한민국 新동력 腦과학
손바닥 보듯 뇌도 들여다 보는 시대
시나리오 1 회사원 A씨는 두통과 불면증에 시달리고 있다. ‘뇌에 이상이 있지 않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부인과 함께 마트에 시장을 보러 가서 한쪽에 마련된 ‘병원’ 파트에 들러 최첨단 뇌영상 장비로 촬영을 해보았다. 결과는 바로 프린트되어 나왔고 별다른 이상이 없음을 확인했다.
시나리오 2 주부 B씨는 우울증에 걸렸다. 집안일은 하기도 싫고 외롭다는 느낌만 자꾸 든다. 자살이 결코 남의 이야기만이 아니라는 생각까지 하게 됐다. B씨는 병원에 가서 최첨단 뇌영상 장비로 촬영을 하고 약물 요법으로 우울증을 완치했다
‘산업혁명’ ‘정보화 혁명’에 이어 ‘뇌 혁명’이 진행되고 있다. 따지고 보면 산업혁명과 정보화 혁명도 인간의 뇌에 의해 이뤄진 것이니 뇌가 모든 과학과 산업 발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산업혁명이 증기기관의 발명으로 시작됐고 정보화 혁명이 컴퓨터의 발명으로 시작됐다면 뇌 혁명은 뇌를 들여다보는 영상장비의 발명에 의해 시작됐다고 할 수 있다. 이전에 뇌 과학연구가 다른 분야에 비해 진전이 느렸던 것은 뇌 영상 장비의 개발이 뒤따르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제 인간은 CT(컴퓨터 단층촬영), PET(양전자방출 단층촬영기), MRI(자기공명영상장치) 등으로 자신의 뇌를 들여다볼 수 있게 되었다.
이 같은 첨단기술은 국가 경쟁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욱 선명하고 정확하게 뇌를 들여다볼 수 있는 영상장비의 유무가 국력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뇌를 속속들이 들여다보며 뇌의 신비한 기능을 누가 먼저 밝혀내느냐에 따라 국가의 명운이 갈릴 것이라는 말도 실감나게 다가온다. 뇌 영상기술을 바탕으로 한 뇌 혁명의 성과와 향후 과제에 대해 집중 조명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2 腦과학시대 |뇌 연구 어디까지 왔나] 1000억개 신경세포 연결 지도 커넥톰(Connectome)이 뇌의 비밀 쥐고 있다
-
다음글
- Identifying fruit tree and ornamental plant varieties using DNA marks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