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골 질환을 제어하기 위한 동물모델 개발

  • 등록일2009-09-03
  • 조회수11403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09-09-03
  • 출처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뉴스지
  • 원문링크
  • 키워드
    #동물모델#골 질환#골#뼈
  • 첨부파일
골 질환을 제어하기 위한 동물모델 개발
 
 
정대원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골 대사성 질환제어 연구실 미생물학교실 조교수
이경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골 대사성 질환제어 연구실 미생물학교실 연구교수
김현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골 대사성 질환제어 연구실 미생물학교실 박사후 연구원

  
서론

대부분의 인체 장기 (organ)는 연조직으로 이루어져 있고, 부가적으로 연골 (cartilage), 치아 (tooth), 골 (bone)과 같은 비교적 단단한 경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경조직 기관은 치아 > 골 > 연골 순으로 단단하고 구성성분에서도 약간의 차이가 있다. 또한 횡ㆍ종간의 물리적 힘으로부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은 연골 > 골 ≥ 치아의 순으로 차이가 있다. 이들 단단한 장기는 기능적 측면에서도 다소 차이가 있는데 치아는 음식물을 저작하여 소화기능을 돕는 역할을 담당하는 반면에 연골은 골과 골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고 유연성을 제공한다. 치아 및 연골과 비교해 볼 때, 골은 적절한 견고함과 유연성을 동시에 가진다. 따라서 골은 인체의 형태를 유지하고 몸을 지탱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연조직을 보호할 수 있다. 골은 단백질 성분과 칼슘과 같은 다양한 미네랄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래된 골의 구성성분들은 파골세포에 의해서 흡수되고 새로운 골이 조골세포에 의해서 형성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