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일본, 최신 항체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과 향후 과제
- 등록일2009-11-13
- 조회수8412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09-10-28
-
출처
과학기술정책정보시스템
- 원문링크
-
키워드
#항체기술#일본#cDNA#밀레니엄 게놈 프로젝트#게놈 네트워크 프로젝트
일본, 최신 항체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과 향후 과제
○ 서론
종래, 의약품은 유기합성에 의해 제작되는 비교적 분자량이 적은 합성화합물로, 효과가 있는 약이 중심이었다. 이러한 저분자 약제는 보다 높은 치료효과가 있는 질환영역이 있는 한편 좀처럼 만족할 수 없는 치료효과가 얻어지는 영역이 남아있는 것도 사실이다. 지금까지 제약업계에 한하지 않고 대학과 공적연구기관의 의학생물학 연구자도 이 불충분한 의료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 왔다. 그러한 가운데 저분자 의약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범주의 의약후보가 제안되었고, 유효성과 안전성 등의 검증이 이루어졌다. 그 대표적 성공례는 1980년대의 유전자 조작기술의 진전을 배경으로 한 일련의 단백의약이다. 단백의약이란 본래 생체가 가지고 있고, 중요한 생체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단백질분자를 인공적으로 대량 생산한 것이다. 단백의약은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경구투여는 할 수 없고 통상은 주사와 링겔에 의해 투여된다. 대표적인 것은 당뇨병 치료약인 인슐린, 빈혈 치료약인 에리트로포이에틴, 바이러스성 간염의 치료약인 인터페론류 등이고,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질환에서 중심적인 치료약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1990년대가 되면 인간의 면역기능을 이용한 항체의약의 항암제가 판매되어 그 높은 효과와 안전성 때문에 순식간에 많은 환자가 이용하게 되었다. 다음은 항체와 항체의료에 대해 개관함과 동시에 현재의 과제와 해결을 위한 대처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 최신 항체관련 기술의 연구개발
의약 연구개발은 의학ㆍ생물학의 기초연구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기초연구의 성과로서 질환의 원인 분자와 병태에 영향을 주는 분자가 발견되기도 하고, 병태에 관해 보다 깊은 이해를 얻는 것은 적지 않다. 대부분의 경우 이렇게 발견된 분자는 의약의 표적이 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고 병태에 관한 지견은 의약 연구개발의 방향성을 정하는 데에도 극히 중요한 정보가 된다. 거꾸로, 의약과 그 기초가 되는 화합물과 항체는 의약ㆍ생물학의 연구상 유용한 도구가 된다. 항체의약의 목표분자와 항체공학적 기술이 대학과 공적연구기관 등의 기초연구에서 얻어지는 예도 적지 않다. 폭넓은 기초연구의 추진과 새로운 발상에 의한 기술개발의 선도가 특히 공적 자금으로 이루어지는 연구에는 요구된다.
1. 주된 공적 프로젝트
(1) 신규 표적 분자의 탐색
-완전장(長)인간 cDNA 프로젝트
-후발약품 제약연구소
-밀레니엄 게놈 프로젝트
-게놈 네트워크 프로젝트
(2) 항체 생산 기술과 항체 제작 기술에 관한 연구개발
-바이오 프로제스 실용화 개발
-신기능 항체 제약 기술 개발
2. 특히 주목되는 기술
-바큐로 바이러스(곤충에 감염하는 바이러스)를 이용한 막 단백질 발현과 항체제작에의 이용
-인간 항체 생산 바이러스 착출
-동물을 이용하지 않는 항체 제작법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