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21세기의 에이즈 신약 개발 동향

  • 등록일2009-12-07
  • 조회수13882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09-11-27
  • 출처
    질병관리본주 주간건강과 질병
  • 원문링크
  • 키워드
    #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AIDS
  • 첨부파일

21세기의 에이즈 신약 개발 동향


Strategy for AIDS drug development in the 21st century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면역병리센터 에이즈.종양바이러스과     
 

 


Ⅰ. 들어가는 말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 이하 AIDS)이 처음 발견되고 연구되었던 80년대에 비해 21세기의 감염자들은 그간 많은 약제의 개발과 이를 이용한 효과적인 치료로 인해 상당한 수명의 연장이 가능해졌고 병증의 진전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그간의 치료법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AIDS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인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의 전파를 방지하거나 감염자에게서 바이러스를 완전히 제거하는 방법은 아직까지 개발되지 못하였으며, 내성 변이주의 발생 등이 장기간의 치료과정에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HIV의 전염을 막기 위한 예방백신을 비롯하여 내성 바이러스 문제 해결을 위한 약제 순응도 개선 연구 및 완치를 목적으로 하는 새로운 AIDS 치료제 등이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Ⅱ. 몸 말


1987년 최초로 역전사효소 억제제(Reverse Tranase Inhibitor ; RTI)인 zidovudine(원래 azidothymidine이라고 불리던 약제여서 AZT라는 약어로 지칭됨. 상품명은 Retrovirⓡ)이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FDA)에 의해 AIDS 치료제로 승인받아 사용된 이후,   다양한 종류의 역전사효소 억제제와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Protease Inhibitor; PI)가 칵테일 요법(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 HAART)에 사용되며 많은 AIDS 환자들의 치료에 도움을 주어 왔다(Table 1).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