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미생물에서 축산의 해답을 찾는다
- 등록일2009-12-23
- 조회수10768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09-12-22
-
출처
농촌진흥청
- 원문링크
-
키워드
#미생물#유용 미생물#기능성 축산물
미생물에서 축산의 해답을 찾는다
- 유용 미생물로 가축 생산성과 품질 고급화를 이룬다 -
□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은 친환경 축산업 육성, 기능성 축산물의 보급 및 수입사료 대비 국산조사료 품질향상을 위하여 유용미생물을 50여종 개발하였으며, 13종의 제품을 상용화 하여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시장까지 진출하고 있다.
○ 축산 미생물 개발은 장내 균총 정상화를 위한 생균제, 축산악취 저감을 위한 사료첨가제, 기능성 유제품을 생산하는 유산균 및 풀사료의 품질향상에 적합한 미생물로 구성되어져 있다.
○ 이러한 미생물 개발은 친환경 축산업 육성정책 및 사료비 상승에 대응할 수 있으며, 소비자지향적인 유제품의 생산에 기여함으로서 안정적인 축산업 발전과 품질고급화에 기여를 하고 있다.
□ 생균제의 미생물 유래는 건강한 가축의 장내에서 분리하였거나 전통주인 막걸리에서 분리한 미생물을 활용한 것으로 가축의 생산성을 개선함은 물론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 가축의 장내에서 분리한 미생물은 국내실정에 적합한 미생물로서 생산성 향상과 설사발생 감소 및 돼지고기 품질향상에 효과가 있다.
○ 제품화된 미생물은 국내에서는 친환경 축산업에 이바지하고 있으며, 중국에는 3년 전부터 현지에서 직접 생산되며 이집트에는 금년부터 처음 10톤 정도 수출되었는데 그 효과를 인정받아 주문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막걸리에서 분리한 효모는 항산화물질인 글루타치온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균주로서 가축의 스트레스 해소로 우유품질 향상 및 녹용 생산량 증가 및 고기의 저장성 증진에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가격경쟁력이 우수하여 수입대체효과가 5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 최근, 우유의 소비확대를 위한 건강 기능성 발효유를 제조하는 유산균을 분리하여 발효유제품을 개발하였다.
○ 항암 및 다이어트에 효과적인 CLA를 생산하는 유산균을 신생아 분변에서 분리하였으며, 53%의 혈중 알콜농도 감소효과가 있는 숙취제거 및 간 기능보호 발효유를 개발하였다.
○ 당뇨병 환자에게 효과적인 혈당강하 효과가 우수한 발효유는 당뇨병(제2형 당뇨) 유발 실험동물에 4주간 급여한 결과 혈당치를 52% 정도, 혈중 중성지질을 약 38% 감소시켰으며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HDL을 유지시키고 당뇨환자에 나타나는 체중저하도 막아주는 효과가 있었다.
○ 특히, 최근에는 세계 5대 장수식품으로 선정된 우리나라 전통 젖산발효식품인 김치 3종(배추김치, 깍두기, 백김치)에서 항균활성이 우수한 균주 2종을 최종 선발하여 발효유제품 3종(요구르트, 크박(Quark)치즈, 까망베르 치즈)을 제조하였는데 특허출원 및 목장형유가공 창업농가에 기술이전 할 예정이다.
□ 또한, 악취저감을 위한 미생물도 개발·보급되고 있는데 축사내의 악취를 저감함으로서 민원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가축의 건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 농촌진흥청에 의하면 바실러스, 유산균, 낙산균 및 효모균 14종으로 구성된 악취저감 사료를 급여하였을 때 장내 세균총과 암모니아 및 유화수소를 줄여 계사환경을 개선시켰으며, 돼지의 경우 돈사내 암모니아가스 발생율을 24.4%, 초산이 18.3% 감소되는 환경개선효과가 있다.
○ 특히 가축분내 저급지방산의 농도가 60% 이상 저감되는 효과가 있어 가축의 사육환경을 크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볏짚과 같은 열악한 풀사료 자원의 영양적 가치를 개선하고 수입 풀사료를 대체하기 위한 사일리지 조제용 미생물을 개발하여 농가 보급하여 큰 호응을 얻고 있다.
□ 최근 농가의 미생물에 대한 수요가 최근 몇 년 사이에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직접 미생물 사료를 생산하고자 하는 열망에 부응하여 시·군 농업기술센터 및 농가단위 미생물 배양에 필요한 기술교육도 3년 동안 111개 센터에 실시하고 있는데, 교육 신청자가 계속 증가하여 기술보급교육도 확대 정례화 할 예정이다.
□ 농촌진흥청 라승용 국립축산과학원장은 “미생물은 무한대의 자원으로 우리 축산업에서 활용하기 가장 경제적이기 때문에 생산자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어서 확립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더욱 다양한 미생물을 개발·보급하여 녹색 축산기술의 선봉이 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지식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미생물-전극 간 전자 흐름의 재설계: 합성생물학과 바이오인터페이스 기술의 융합 2025-03-31
- BioINwatch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2025-03-27
- BioINwatch 피부 유익균을 활용한 바르는 미생물 백신 2025-02-04
- BioINpro [2024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하)] 바코드 미생물 2024-06-26
- BioINwatch 장내 미생물은 보호하면서도 병원성 세균만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항생물질 발굴 2024-06-13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