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이달의 과학기술자상’2월 수상자 서울대학교 김상건 교수 선정

  • 등록일2010-02-04
  • 조회수11969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0-02-04
  • 출처
    동아사이언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 첨부파일

‘이달의 과학기술자상’2월 수상자 서울대학교 김상건 교수 선정

 

- 지방간과 지방간염 유발 메커니즘 및 만성대사질환 치료제 개발 공로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와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박찬모)은 비알콜성 지방간의 새로운 조절신호를 발견하고, 새로운 치료 후보 물질들과 작용기전을 연구하여, 만성대사질환 치료제 개발에 크게 기여한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김상건 교수(金相建 50세)를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2월 수상자로 선정하였다.


 □ 김상건 교수는 산화적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증가되고 생체항상성이 교란되어 나타나는 만성대사질환의 치료 타깃을 발굴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꾸준히 연구해 왔다.


 ○ 그 중 대사성(비알콜성) 지방간은 우리나라와 선진국에서 흔히 발생되는 간질환으로, 간 조직에 지방이 많이 축척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데, 인슐린 저항성을 비롯한 각종 만성 대사 장애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대표적인 간 대사질환이다.


 ○ 지방간은 중성지방이 축적되어 정상적인 간 기능을 방해하며, 만성화될 경우 간염 또는 간경화로 발전한다. 과체중이나 비만, 당뇨병, 약물 등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 치료제로 인정되는 약물은 없다.


□ 김 교수는 2007년부터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선도연구센터 - 대사 및 염증질환신약개발연구센터’의 지원으로, 만성 간질환 치료 개발 가능성을 열었다.


 ○ 김 교수는 간 조직 지방합성의 핵심인 엘엑스알-알파(liver X receptor-α)라는 새로운 조절신호를 발견하고, 올티프라즈(OLT)를 포함한 신규 약물들이 엘엑스알-알파의 활성을 억제하여, △지방간과 지방간염의 치료 △항산화 유전자의 발현 △간세포 성장 및 재생 신호체계를 규명하였다. 아울러 만성 간질환 치료를 위한 약물 작용점을 제시하여, 간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대사성 질환들의 치료가능성을 한 단계 높였다.


□ 또한 김상건 교수는 간 대사질환 발생의 새로운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약물작용점과 신규 화합물군을 발굴하였다.

 

 ○ 이 연구결과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간질환 저널인 `Hepatology`誌 2009년 6월에 발표되었고, 국내ㆍ외 특허를 각 1건씩 출원하였으며, 같은 해 8월에는 (주)파마킹에 기술을 이전하여, 지방간과 지방간염 치료제 실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대사성 지방간과 지방간염은 치료제로 인정된 약물이 없어, 제품화될 경우 국내 제약 경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 김상건 교수는 다양한 화합물군과 천연물을 활용한 대사질환치료제를 발굴하여 간 대사질환의 연구를 수행하면서, 간질환과 분자생물학의 권위 있는 저널인 △Hepatolog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Oncogene,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등에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또한 10여건의 국내?외 특허를 확보하고, 학술회의 강연자 및 국제학술지 심사위원 등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 김상건 교수는 “이 기술은 만성간질환은 물론 간경변증, 당뇨와 같은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는 약물 개발에 핵심 기술일 뿐만 아니라, 연구결과가 실제 의약품 개발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어 앞으로 만성 간질환 치료에 크게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도 만성대사질환에 대한 다양한 신약을 개발하여 우리나라 대사질환 연구를 세계 수준으로 끌어올리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자료문의>  ☎ 02-2100-6636, 교과부 과학기술문화과 김병규 과장, 박문혁 사무관
                   ☎ 042-869-6831, 연구재단 인재양성팀 정주호 팀장, 강필구 책임연구원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