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경락 연구의 최신 국내외 동향

  • 등록일2010-06-14
  • 조회수7572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경락 연구의 최신 국내외 동향

 

 

김연진  TCM MEDICAL TK SDN BHD, Malaysia

 

경락과 경혈은 한의학에서 장기적인 의료과정을 거쳐 경험적으로 획득된 인체의 생리 병리 진단의 효율적인 반응점으로 침구치료의 이론적 근거가 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경락과 경혈의 실체에 대한 실험적 연구가 다방면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체적으로 전기생리학적 연구를 비롯하여 생물물리학적 측면에서의 연구와 함께 형태학적 해부학 연구등의 연구들을 통해 침구치료의 임상 효과에 대한 연구로 이루어 지고 있다.

 

 

1. 전기 생리학적 연구

 

경락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뇌파에 대한 연구이다. 뇌파는 대뇌피질에서 일어나는 전기현상을 대뇌피질의 표면 또는 두피 위에서 기록한 것으로 다른 뇌영상기계등과 같은 나른 뇌기능 측정 장비에 비해 측정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부담이 적어 뇌기능 연구에 주로 사용된다. 대한경락경혈학회지를 보면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경혈학교실에서 관련 연구에 대한 논문을 많이 발표하고 있다. 각각의 경혈에 전침 자극을 한 뒤에 뇌파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테마로 잡고 있다. 뇌파 연구에서 주된 분석방법은 파워 스펙트럼(Power Spectrum), 비선형동력학(Nonlinear dynamic)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경혈학교실에서는 파워 스펙트럼의 분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논문에서 보면, 노궁(PC8)혈에 전침자극을 주었을때의 뇌파의 파워 스펙트럼 분석을 한 결과 전반적으로 뇌파의 파형이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사실들로 미루어 볼때, 노궁(PC8)혈의 전침 자극이 대뇌피질의 기능조절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중앙대학교 물리학과에서는 비선형동력학의 분석방법을 이용한 전침자극이 간질 동물모델의 뇌파에 대한 변화를 관찰한 논문이 발표된 적이 있는데, 사용한 분석법은 선형분석에서의 Times series와 Histogram을 이용했고, 비선형분석에서는 KY dimension과 Kolmogorov entropy의 방법이 사용되어 분석을 했다. 그 결과 간질 뇌파의 파형을 억제하고 이는 전침 자극이 뇌기능조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중국 중의연구원의 Zhang Wei-Bo교수팀이 중국내에서 경락연구에 대해 가장 활발한 연구를 하고 있는 팀으로, Zhang 교수는 Neural Fluid transmission model과 경락과 관계가 있다고 보고 있다.


 

special_01.jpg

 

중국남경중의약대학 침구학교실에서는 전침 자극이 개의 심전도 변화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고, 실험동물의 임상분야에서 심근경색을 치료모델로 한 연구가 있었다.




2. 생물 물리학적 연구


Han Ji-Sheng 교수팀은 뇌영상기계를 이용한 경락연구를 하는 팀으로 전침자극이 뇌기능의 변화에 대한 영상분석과 함께 침치료의 진통 기전연구에 다양한 연구를 하는 팀으로 알려져 있다. Hu Xiang-Long (福建省中醫藥硏究院)연구팀은 적외선 복사를 이용한 동일 경락상의 경혈과 비동일 경혈간의 열전도율을 비교한 결과 두 경혈사이에 물리적 특성이 다르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Wang Yu-Ling(北京大學醫學部) 는 Bio electricity와 경락학에 대한 연구를 하는 연구자로, 저서인 “Bio electricity Medicine and Chinese Medicine(生物電醫學與中醫)”에 보면 다양한 중국측 경락 연구방향을 알 수 있다. 자기장을 이용한 연구, 침구 자극에 대한 “得氣感”의 Bio electricity관련 연구, 스테인레스 침과 체내 전기장과의 관계등이다. 또한 Gamma camera를 이용한 동위원소 연구를 하기도 한다. 또한 Wu Zhi-Yuan (上海交通大學醫學院)연구팀은 동일 경락상의 경혈과 비동일 경혈을 각각 자극하였을때 fMRI를 이용한 뇌기능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각기 다른 경락상의 경혈을 자극하였을때 각기 다른 뇌부위에 뇌기능이 활발히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근에는 GPU 렌더링을 이용한 경락연구를 시도한 연구팀도 있다. 이러한 방법등을 이용하여 경락의 순행모식도를 구축해 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들어 fMRI등의 뇌영상 기계를 이용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나, 가천의과대학 조장희교수가 PNAS에 발표한 논문을 자진철회하면서 관련 연구에 대해서 의견이 분무하지만, 관련 연구 논문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향후 연관성에 대해서는 더 두고 봐야 할듯 싶다. Optical Properties를 이용한 논문들이 발표되면서 ultra-weak chemiluminescence법을 이용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 지고 있다.


 


3. 해부학적 연구


아직까지 해부학적인 연구를 하는 연구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확인된 것은 없지만, 북한의 연구결과인 봉한관의 관점을 다시 재조명하기 시작한 것은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소광섭 교수팀이다. 재조명되고 국내의 경락연구에 큰 전환점이 된 계기가 소광섭교수 연구팀이 발표한 Anatomical Record B에 실린 논문으로 논문에서 보면Feulgen Reaction study를 이용한 봉한관 연구이다. 이후에 소광섭교수 연구팀은 좀 더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를 시도하였고, 다양한 염색방법과 나노과학을 이용한 결과 봉한관의 실체를 좀 더 자세히 관찰할 수 있게 되었다. 해부학적 연구에 대해서는 한국 연구팀이 좀 더 발전된 경향이 있으며, 중국측에서는 70년대 이후 경락의 해부학적 연구를 실시하지 않았다. 이에 봉한관에 대한 내용은 당시 인민일보에 실린 기사 이외에 침구학 교과서에서 조차 그 내용이 실리지 않았다. 하지만, 그 당시 봉한관 연구에 참여한 남경중의약대학 침구학 연구실 교수들은 필자의 질문에 대해 당시 연구상황에 대해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으나, 구체적인 이야기는 듣기 힘들었다. 향후 해부학적 연구가 더 진행됨과 동시에 경락의 기능적인 역활과 이를 이용한 임상연구까지 진행이 되어야 할 것이다.

 

special_02.jpg

 

 

 

4. 결론


중국의 연구동향은 문헌학, 기초의학, 임상의학으로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으나, 문헌학과 임상의학에 치중되고 있으며, 기초의학 분야 중에서 해부학적 생물학적 부분에 대해서는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고 있다. 한국의 연구에서는 문헌학의 기초를 두고 해부학적 생물학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많은 한의과대학에서 연구 논문을 발표하고 있어 관련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관심사가 될 수 있다고 생각이 든다. 하지만, 한의학 연구자의 입장에서 보면 플라시보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임상의학 연구에서 비중있게 다루어야 할 부분이고, 이에 대해서는 많은 임상침구 연구자들이 생각해 봐야 할 내용이다. 플라시보 효과에 대한 연구는 Sham acupuncture에 대한 연구분야로 1985년 Andrew Moore가 The Lancet에 발표된 논문으로 이후에 다양한 연구내용들이 나왔다. 최근 Simon Singh가 낸 “TRICK OR TREATMENT”라는 책에서 보면 다양한 의문들이 나오고 있다. 경락에 대한 존재부터 치료효과에 대한 의문점들이 열거되어 있어 이러한 내용들을 참고하여 해답을 찾아낸다면 임상의학 분야에서 침구치료학에 큰 변화와 과학적인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조금씩 경락에 대한 존재와 침구치료의 근거 증명에 한발짝 더 발전된 경향을 볼 수 있으나, 자칫 경락학설과 동양의학의 의미를 잃어버리지 않을까 하는 우려감이 있다. 분명 일반 관련 기초과학과 접목하여 연구하는 것도 분명 중요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에 기초가 되는 것이 경락학설과 동양의학이 내포되어 있음을 강조하고 싶다.


 


참고문헌


서상수, 권순철. 신문 전침 자극이 EEG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04, 21(1)


홍승원, 윤대식. 노궁 전침 자극이 뇌파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07, 24(2)


S.H.Yoo, S.J.Hahn et al.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therapy on the treatment of rat epilepsy.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2007, 50(2)


Wu Shi-Yuan, Miao Fei et al. Comparative Study on Acupuncturing the Different Acupoints of the Sam Meridian with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Chinese Journal of Medical Imaging. 2008, 16(2)


Wang Bao-Tu, Yu Lun et al. Research on construction of virtual meridians and collarerals system based on GPU. Computer Applications and Software. 2008, 25(9)


Guang-Jun Wang, M. Hossein Ayati et al. Meridian Studies in China: A Systematic Review. J Acupunct Meridian Stud. 2010, 3(1)


Zhang WB , Wang LL , Huang T , Tian YY , Xu YH , Wang L , et al. Laser Doppler perfusion imaging for assessment of skin blood perfusion after acupuncture . Medl Acupunct . 2008, 20


Jiang Xing-Hui, Liu Han-Ping et al. Research Progress in Optical Properties of Meridians and Acupoints. ACTA Laser Biology Sinica. 2010, 19(1)


Hak-soo Shin, Hyeon-Min Johng et al. Feulgen Reaction Study of Novel Threadlike Structures (Bonghan Ducts) on the Surfaces of Mammalian Organs. THE ANATOMICAL RECORD PART B: NEW ANAT. 2005, 284B


Simon Singh, Edzard Ernst. Trick or Treatment. Corgi Book. 2009 ISBN: 9780552157629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