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식품 및 사료에서 곰팡이 독소를 10분 이내에 검출할 수 있는 나노항체 정제킷트 개발
- 등록일2010-08-18
- 조회수10401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자료발간일
2010-08-13
-
출처
국립수의과학검역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나노항체
- 첨부파일
식품 및 사료에서 곰팡이 독소를 10분 이내에 검출할 수 있는
나노항체 정제킷트 개발
- 검사 기술의 정확도 향상과 정제킷트의 국산화 길 열려 -
□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자성을 띠는 실리카 나노물질과 곰팡이 독소에 대한 특이 항체를 이용하여, 사료 및 식품에서 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곰팡이 독소인 아플라톡신과 제랄레논을 동시에 10분 이내에 신속하게 분리·정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 본 기술은 2년 동안 서울대학교 화학과 이진규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수행한 결과로서, 서울대학교에서는 150나노 크기의 자성을 띠는 실리카 나노물질을 제작하였고,
○ 검역원에서는 곰팡이 독소 특이항체의 생산과, 서울대학교에서 제작된 나노물질과 곰팡이 특이항체를 결합시켜 순수하게 정제하는 기술을 확립하였다.
□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나노 기술과 바이오 기술이 융합된 성과로서, 향후 2종의 곰팡이 독소를 동시에 정제할 수 있는 저가의 고효율 신속 정제킷트가 산업화될 경우 현재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고가의 면역친화정제킷트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면역친화정제킷트 수입추정량은 ‘09년도 약 80만불, ’10년도 상반기 약 60만불로, 향후 정제킷트의 수요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현재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사료 및 식품 중에 아플라톡신과 제랄레논의 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고, 국내에서도 식품 중에 아플라톡신과 제랄레논의 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그 적용품목이 확대되고 있다.
□ 한편, 기존의 수입 킷트는 항체와 고정상의 물질을 이용하여 곰팡이 독소를 개별적으로 정제하는 반면, 이번에 개발된 신기술은 용액속에서 분산력이 뛰어난 나노물질을 활용함으로써 동시에 여러 곰팡이 독소를 정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또한, 본 연구에서 확립한 나노물질과 항체의 결합기술은 향후 가축의 전염성 질병진단이나 곰팡이 독소 이외의 유해물질을 분리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참고자료>
1. 나노입자와 특이항체 이용 정제과정
2. 시판되는 수입산 면역정제킷트와 비교
3. 개발기술과 수입산 정제킷트와 요약 비교
4. 개발기술과 수입산 정제킷트 수입대체 효과
5. 식품 및 사료중 곰팡이 독소 검사과정
6. 곰팡이 독소 설명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