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생물화학제제와 천적을 이용한 모기의 생물학적 방제

  • 등록일2010-10-08
  • 조회수9364
  • 분류기술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자료발간일
    2010-10-08
  • 출처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 질병
  • 원문링크
  • 키워드
    #생물화학제제
  • 첨부파일

생물화학제제와 천적을 이용한 모기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mosquitoes using natural enemies and biochemicals

 

 

고신대학교 보건환경학부 위생곤충연구실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면역병리센터 질병매개곤충과   
   
  

 


Ⅰ. 들어가는 말


질병매개체(vector)를 방제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매개체에 의한 질병전파를 막고자 하는데 있다. 생태계가 잘 보존된 곳에서는 먹이사슬에 따른 작용으로 천적들에 의해 모기의 밀도가 자연적으로 어느 선 이하로 조절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병을 매개하거나 사람을 괴롭히는 모기의 수는 충분히 있어 온 것이 지금까지의 역사이다. 모기를 비롯한 다양한 매개체를 방제하기 위해 그동안 유기합성 살충제가 등장하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살충제의 잦은 사용과 부적절한 사용은 모기의 살충제 저항성 발현과 사람을 비롯한 타 생물에 대한 직접적인 피해와 환경과 식음료의 오염이란 문제에 봉착하게 되었다. 따라서 많은 국가에서 살충제 사용을 자제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를 위시하여 세계적으로 지속되어 왔다. 최근에는 모기의 유전자를 변화시켜 모기의 수를 줄이거나 질병매개를 차단하려는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생태계 교란이나 적용방법에 문제가 있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질병매개체의 방제를 위해 살충제의 사용을 억제하고 천적을 이용한 생적 방제법(biological control)은 세계적으로 그 효과와 환경친화성이 입증되었다. 생물학적 방제법의 목적은 천적을 이용하여 질병전파를 억제시킬 정도의 한계 이하로 매개체의 밀도를 낮추게 하고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하거나, 매개체 내의 병원균이 전파활동을 할 수 없는 형태로 변화시키게 하는 것이다.


생물학적 방제에 사용되는 천적은 방제 대상이 되는 살아 있는 질병매개체를 공격한다. 비록 천적의 생존력이 짧은 경우일지라도 유기합성 살충제에 비해 장점이 많다. 어떤 천적들은 능동적으로 질병매개체를 찾기 때문에 새로운 장소에 투입이 되더라도 어느 한계 이하로 매개체의 발생밀도를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다. 천적을 이용한 방제방법은 자연계에서 타겟이 되는 질병 매개체의 일부가 살아남기   마련이므로 완전히 박멸시킬 수는 없다. 그러나 살충제를 이용한 전통적인 방제법 역시 매개체를 완전히 박멸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살충제 살포지역 내에 오랜 기간 잔류하여 환경적인 피해를 줄 수 있다. 모기에 대해 생물학적 방제에 이용되는 종류는 모기유충을 대상으로 하는데, 어류와 같은 포식자, 세균류인 Bacillus thuringiensis var. israelensis와 Bacillus sphaericus, 곰팡이류인 Coelomomyces spp., 기생성 선충류(Nematodes)인 Reesimermis nielseni, 그리고 생물에서 얻거나 이와 유사한 생물화학제제(biochemicals)로 모기를 제외한 타 생물과 자연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는 곤충성장억제제(insect growth regulators; IGR) 등이 있다[1].


현재 가장 효과적인 방제법으로 알려진 종합적 모기 방제전략(Integrated Mosquito Management; IMM)의 목적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모기의 위해활동을 줄이게 하거나 질병매개를 감소 또는 방해하게 하는 것으로 생물학적 방제법이 이 전략에 포함된다. 이 글에서는 모기의 여러 가지   천적과 생물화학제제 가운데 실용성이 입증되어 방제에 사용되고 있는 종류만 소개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