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AI 유전자 분석, 인공위성 추적 장치 이용 원인 추적 추진

  • 등록일2010-11-17
  • 조회수8922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0-11-17
  • 출처
    국립환경과학원
  • 원문링크
  • 키워드
    #AI #조류인플루엔자
  • 첨부파일

AI 유전자 분석, 인공위성 추적 장치 이용 원인 추적 추진


  ◇‘06~09년, 전국 야생조류에서 고병원성 AI 불검출
  ◇ 전파발신기를 이용한 조사에서 흰뺨검둥오리의 농가 접근 미확인
  ◇‘11년 인공위성 추적 장치를 이용한 국제 이동경로 추적

 


 □ 국립환경과학원은 2006.10∼2009.09월 사이에 전국에서 조사한 야생조류와 야생조류 분변에서 고병원성 AI(이하 HPAI)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 본 조사는 AI의 발생원의 하나로 지목 되어온 야생조류 1,670개체를 포획하여 혈액 등을 채취하였고, 또한 5,116점의 야생조류 분변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HPAI :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 '06∼'08년에 전국 26개 지역에서 HPAI 발생 (붙임 1)


  ? 또한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원앙 등 인간과 가금류에 접촉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종을 설정하여 이를 가교종(32종)으로 제시하였다(붙임 2).


     ※ 가교종이란 야생조류종와 가금류나 인간의 HPAI 감염을 유발, 매개할 수 있는 종


 □ 야생조류로 인한 가금류 HPAI 발생 가능성을 효율적으로 탐지하기  위하여,


  ? 전파발신기를 이용하여 흰뺨검둥오리의 농가 접근 여부를 확인하였고,(붙임 3)


  ? 철새 도래지를 중심으로 HPAI 감염가능성이 높은 야생조류의 포획과 시료를 수집하여 AI를 집중 조사하였다.


 □ 향후 국립환경과학원은 야생조류의 HPAI 조사 연구를 지속하고 HPAI의 국내 전파 경로를 규명하여 HPAI 예찰과 조기관리를 지원할 예정이다(붙임 4).


  ? 이를 위하여 야생조류의 HPAI 발생을 대비하여 야생조류 시료 및 HPAI 검출과 관련 가능성이 있는 AI 유전자를 분석하고 있으며,


  ?2011년부터 인공위성추적장치를 이용 HPAI의 국가간이동을 연구하여 HPAI의 원인을 철저히 규명할 예정이다.

 


붙임  1. ’06년 이후 국내 가금의 HPAI발생지와 과학원 조사지역
붙임  2. 가교종 목록. 1부.
붙임  3. 흰뺨검둥오리의 위치추적 결과
붙임  4.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분석 방법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