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치료용 항체의 개발 동향
- 등록일2011-05-02
- 조회수12014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1-05-02
-
출처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웹진 5월호
- 원문링크
-
키워드
#치료용 항체
- 첨부파일
치료용 항체의 개발 동향
II. Bispecific antibody (이중특이성 항체)
차상훈 강원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시스템면역과학과
1. 서론
1-1. 치료용 항체 역사와 이중특이성 항체의 등장
19세기 말 E. Behring and S. Kitasato에 의해 비치사량의 diphtheria와 tetanus가 투여된 실험동물의 혈청을 다른 동물에게 투여함으로써 diphtheria와 tetanus로부터 보호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된 이후 혈청치료, 즉 항체치료의 개념이 점차적으로 임상에 활용되기 시작하였으나, 초기의 항체치료는 고순도의 항체 및 혈액 유래 전염성 매개체의 오염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실용성이 극히 제한되었다. 이러한 전통적인 항체치료의 문제점은 1975년 Kohler and Milstein에 의해 개발된 하이브리도마 융합기술(hybridoma fusion technique)로 인해 순수한 형태의 설치류 기원 단클론 항체를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게 되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으나, 생쥐기원의 단클론 항체가 인체 투여 시 일으키는 짧은 반감기, 항-생쥐항체에 대한 면역반응, 효능저하, 치명적인 알레르기 반응 등 여러 단점 및 부작용으로 인해 임상에서의 사용이 제한되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헤테로하이브리도마(heterohybridoma) 제작 등과 같은 일련의 시도가 진행되었으나 실용성은 많이 미흡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분열효모 (Schizosaccharomyces pombe)에서 유전체 결손 균주 라이브러리 제조와 분석 및 HCS 약물작용점 탐색 시스템 구축
-
다음글
- 간흡충과 암발생의 관련성 및 발생기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