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분열효모 (Schizosaccharomyces pombe)에서 유전체 결손 균주 라이브러리 제조와 분석 및 HCS 약물작용점 탐색 시스템 구축

  • 등록일2011-05-03
  • 조회수9350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1-05-02
  • 출처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웹진
  • 원문링크
  • 키워드
    #분열효모#균주 라이브러리
  • 첨부파일

분열효모(Schizosaccharomyces pombe)에서 유전체 결손 균주 라이브러리 제조와 분석 및 HCS 약물작용점 탐색 시스템 구축

Analysis of a genome-wide set of gene deletions in the fission yeast Schizosaccharomyces pombe Nat. Biotechnol. 2010 Jun;28(6):617-23

 


 허광래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오믹스융합연구센터)
 김동욱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오믹스융합연구센터) 
 


1. 연구배경
 
유전자의 기능을 연구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유전자를 제거한 후, 유전자의 필수성(essentiality)과 모습(phenotype)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단세포 생명체의 유전자를 결실(knock-out, deletion)시키는 것은 상동성재조합(homologous recombination)방법을 사용하면 비교적 용이하다. 하지만 다세포 생명체의 유전자 결실은 기술적으로 힘들어 대게 RNAi기법을 통한 유전자 knock-down에 의존하게 되는데, 이때 소량의 유전자 발현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유전자 결실에 비하여 결과해석에 오류가 발생한다(1). 선행연구로 2002년 스텐포드대학의 Ronald W. Davis팀은 단세포 진핵 모델생명체 출아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의 약 6,000종 유전자를 각각 결실시켜 게놈 수준으로 유전자 기능을 연구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약물작용점 탐색 시스템 구축을 시도하였다(2). 하지만 이러한 선도적인 연구도 연구결과의 비교대상이 없어서 유전자의 본질적 생명현상 의미를 해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