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식물공장의 국외동향
- 등록일2011-05-25
- 조회수11718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1-05-04
-
출처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식물공장
- 첨부파일
식물공장의 국외동향
□ 일조시간이 짧은 등 외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하여 고도의 시설 원예가 발전
○ 식물공장 연구는 1950년대 유럽에서 시작되어 지금은 일본에서 가장 활발하게 진행 중
- 1957년 덴마크 크리스텐센 농장에서 태양광 이용형 온실에서의 새싹채소(Cress) 생산이 최초(파종 1주일 후 수확)
※ 특히, 평면시설에 컨베이어시스템으로 작물을 운반하였고, 태양광의 보광원으로 고압나트륨 램프를 사용한 것이 특징
○ 일본은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식물공장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기후변화 대응 차원에서 사업 진행 중
- 1970년대부터 일본은 식물공장의 상업화를 위하여 기업 중심으로 발전을 도모
- 1985년 쯔꾸바에서 개최된 과학박람회에 상추 식물공장생산시스템을 전시한 것을 계기로 식물공장생산시스템에 대한 본격적 연구개발 및 기업체에서도 관심을 갖고 참여
- 1992년부터 선진적 농업생산 총합추진대책사업(시설채소생산 고도화사업)에 있어서 식물공장생산시스템의 설치에 대한 보조금을 조성
- 1995년부터 실시중인 농업생산체제 강화 대책사업에 있어서도 계속하여 보조대상으로 지정
- 또한, 정부에서는 보조금제도 도입을 통하여 시장 활성화에 총력
○ 미국은 초기 우주개발 목적의 우주공간에서의 식량공급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최근에는 수직공장 개념으로 변화
- 우주탐사선에서 사용할 클로렐라 등 미생물을 생산하기 위한 식물공장개념 최초 도입
- 1960~1970년대 GE, GM과 같은 기업체에서 완전제어형 식물공장 연구를 하였으나, 수익성이 맞지 않아 실용화가 되지 않음
- 이후 WhitePharm사에서 제네랄 밀즈의 식물공장생산시스템을 인수한 뒤 심야전력을 이용 상추, 시금치 등과 허브류를 생산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하단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