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Mre11-Rad50-ATPrS 복합체 결정 구조연구를 통한 Mre11과 Rad50간의 상호 기능 조절에 대한 이해
- 등록일2011-07-04
- 조회수8241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1-07-04
-
출처
생화학분자생물학회
- 원문링크
- 첨부파일
Mre11-Rad50-ATPrS 복합체 결정 구조연구를 통한 Mre11과 Rad50간의
상호 기능 조절에 대한 이해
Crystal structure of the Mre11-Rad50-ATP{gamma}S complex: understanding the interplay between Mre11 and Rad50.Genes Dev. 2011 May 15;25(10):1091-104.
조윤제 (포스텍 생명과학과)
임혜성 (포스텍 생명과학과)
김진석 (포스텍 생명과학과)
연구배경
DSB 손상 신호 전달과 Mre11-Rad50 DNA 양 가닥 절단 (DNA double strand break) 은 유전자의 손상 중 가장 심각한 손상이다. 파손 부위가 신속하게 복구 되지 않은 경우에는 유전자 불안정성의 축적으로 인해 세포 사멸 이나 암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DNA 양 가닥 절단 부위는 상동 재조합(끊어진 DNA를 자매 염색 분체를 주형으로 하여 DNA 양 가닥 절단 부위를 복구하는 방법) 과 비상동 재조합 (끊어진 DNA 양 가닥을 곧바로 접합을 시키는 방법)을 통해서 복구된다. (1,2). Mre11과 Rad50는 상동 재조합과 비상동 재조합에 모두 관여하는데, Mre11-Rad50 복합체는 DSB를 인지하며, eukaryote의 경우에는 또 다른 subunit인 Nbs1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DSB 신호 전달을 한다. 또한 DSB에 절단을 일으켜 또 다른 복구 단백질들을 끌어 들이는 플렛폼 하도록 돕는다. Mre11은 DNA를 절단하는 exonuclease, endonuclease 활성을 모두 역할을 한다. Rad50는 SMC 단백질 군에 속하며 ATPase 활성과 Adenylate Kinase 활성을 가지고 있다. Rad50는 N말단과 C말단의 ATPase 도매인 사이에 기다란 coiled-coil 부위를 가지고 있다. (3,4,5)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